2025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을 위한 연구개발계획서(R&D) 작성 요령
(자료원 : SMTECH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1. 개발기술 목표
본 기업이 연구개발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정량적, 정성적 목표를 작성합니다(1페이지 이내).
2. 연구개발 방법
기술개발 추진 전략, 지적재산권 확보, 다른 기관과의 협력 등 목표달성을 위한 방법론을 작성하고, 기술개발 결과의 검증 방법과 계획을 포함합니다(최대 4페이지 이내).
3. 선행연구개발
자체 연구개발 실적, 국가 지원 R&D사업 이력을 작성합니다(최대 1페이지). 작성시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타부처에 지원한 내용들을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그리고, 작성된 선행연구개발과 본 과제와의 연관성(활용계획)과 차별성을 작성합니다(최대 2페이지).
4. 연구개발 역량
본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연구팀 구성 계획과 역량을 작성합니다. 또한, 참여하는 연구권(과제책임자 포함) 현황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되, 연구원들의 과제 수행시 역할을 기재합니다. 특히 본 과제 수행과 관련된 특허, 논문, 수상실적이 있다면 관련 내용을 작성합니다(최대 2페이지 이내). 수상실적이 없으면 미기재로 남겨 둡니다.
5. 기술개발일정
기술개발기간 동안 추진할 과제들을 일정별로 제시합니다(최대 2페이지).
(작성예시)
6. 연구비 사용계획
과제 연구비(정부출연금, 기관부담 연구개발비 등) 사용계획을 작성합니다(최대 2페이지). 작성시 정부지원금과 대응 자금(민간부담금)을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또한, 연도별로 지급받은 연구비를 해당사업기간 내에 집행할 수 있도록 집행계획을 작성합니다. 즉 분기별로 백만원 단위까지 구체적인 작성을 요합니다. 연구비 조달·유지 계획은 연구개발기관이 재무 건전성(부채비율, 자본전액잠식 등) 완화 대상인 경우에만 작성합니다.
7. 사업화 목표와 전략 등
구체적인 사업화 목표, 사업화 전략, 그리고 기대효과 등에 대해서 작성합니다. 작성시 구체적인 근거와 수치를 기반으로 작성합니다. 첫째, 사업목표는 기술개발 결과물(기술, 제품)을 구체적인 사업화 목표(투자계획, 생산, 국내외 시장진출 계획 등) 작성하고(최대 1페이지), 둘째, 사업화 전략은 기술개발 결과물의 표준화, 인증 획득, 홍보, 판로확보, 판매 등을 위한 전략을 기재 합니다(최대 2페이지). 셋째, 기대효과는 기술개발 결과물의 사업화를 통한 고용창출, 경제 기여도, 지역 내 파급효과 등에 대해서 기재합니다(최대 1페이지).
참조 : SMTECH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tech.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