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인프라 구축

작성자 : 김고은 | 조회수 818 | 등록일 2024-06-17

수출 어렵지 않아요 – 수출 인프라 구축


Q. 메인 아이템인 키즈 악세서리를 기본으로 매달 신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판매처는 네이버의 스마트 스토어 국내 온라인 판매만 하고 있습니다수출을 하고 싶으나 방법을 못 찾고 있습니다.혹시 해외 판로를 찾아 수출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도움 받고 싶습니다.


A. 네, 장기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내 불경기로 내수시장 경쟁이 치열하여 판로 개발 및 매출 확대 여건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내수기업도 5대양 6대주 넓은 세계시장으로 해외 판로를 개발 수출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내수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해외 시장 진출이 중요한 부문으로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수출은 국가간 비교 우위를 점할수 있는 외국과의 물품의 이동 및 대금의 결제행위로 진행 되는 거래입니다.


수출을 진행하기 위하여 우선 수출 목표가에 대한 시장 정보 수집으로 정치, 경제, 기후, 경쟁사 시장상황 등에 대한 필요한 정보 파악이 필요 하며, 우리제품의 홍보 마케팅을 위한 외국어 홈페이지, E-Catalog, 홍보 동영상 등 수출 인프라 구축으로 B2C, B2B 바이어를 발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타진으로


수출을 진행 할수 있습니다.


# 수출국가 시장 정보


external_image


# 해외 마케팅 전략


제품(Product), 촉진(Promotion), 가격(Price), 유통(Place)의 4P’s 마케팅 믹스를 적용하여 상대국의 수요 및 소비자 욕구 수출 목표와 계획을 수립.


external_image


# 외국어 홈페이지 및 카달로그


수출은 수입 바이어의 상품 검색을 통하여 해외 Inquiry 접수 상담이 가능 하여 해외 타겟 고객의 요구 사항에 적합한 영문, 외국어 홈페이지, E-Catalog, 홍보 동영상 등 제작하여 기업 및 상품의 특장점을 노출 바이어를 발굴 하여야 합니다.


* 외국어 홈페이지의 컨텐츠


external_image




외국어 홈페이지를 제작한 후 구글, 네이버 등 해외 유명사이트에 기업의 홈페이지를 등록하고 상위 페이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바이어의 홈페이지 방문을 유도하여 제품 홍보를 통한 Inquiry를 발굴 합니다.


# 해외 규격인증 및 수입 조건


수출을 하기 위해서는 품목에 따라 상대국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규격인증을 획득해야 수입 통관시 확인 서류로 첨부 하게 되어 있습니다. 식품, 화장품, 전기 제품 등 인증을 받지 않으면 해당 국가로 수출 통관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출을 포기하는 기업도 적지 않습니다. 해외 규격인증은 시간, 비용이 부담 되는 작업이므로 사전에 준비하여야 하며 중소기업 해외규격인증 지원 사업을 활용하게 되면 비용을 절감 할수 있습니다.


* 규격인증 대상 여부 확인 절차


www.tradenavi.or.kr접속 → 무역규제 → 해외인증/해외규격/수입요건 → 국가선택 → HS CODE로 검색


http://tradesos.kita.net 접속 → 해외인증 상담센터 해외인증정보시스템(http://cic.ktl.re.kr) → 상담서비스 → 인증상담, 맞춤형 정보조사


해외시장 진출 필요시 경영애로지원센터 수출담당 전문위원에 상담 신청 바랍니다.


external_image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