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부파일
-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22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실적을 발표했다.
수출규모 및 수출기업 분포
’22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3.9% 증가한 304억달러로, 역대 1분기 최고치였던 ‘21년 266억달러를 재경신했다.
* 역대 1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304(’22.1Q) (2위) 266(’21.1Q) (3위) 252(’18.1Q)
* 역대 분기별 수출액(억달러): (1위) 315(’21.4Q) (2위) 304(’22.1Q) (3위) 287(’20.4Q)
1~3월 모두 해당 월의 최고치였으며, 3월에는 역대 월별 수출액 최고치 신기록을 경신했다.
【 분기별 수출액(억달러) 】 | 【 분기별 수출액 증감률(전년동기대비, %) 】 |
수출 1천만달러 이상 달성 기업은 384개사로 전년동기대비 101개사 (+35.7%) 증가했다. 다만, 전체 수출 중소기업 수는 60,480개사로 전년(61,198개사) 대비 소폭 감소(△1.2%)했다.
【 수출규모별 기업 수 (개사, %) 】
수출규모 | ‘21.1Q | ‘22.1Q | |||
비중 | 증감률 | ||||
100만달러 미만 | 56,087 | 54,939 | 90.3 | △2.0 | |
100~500만달러 | 4,256 | 4,479 | 7.4 | 5.2 | |
500~1,000만달러 | 572 | 678 | 1.1 | 18.5 | |
1,000만달러 이상 | 283 | 384 | 0.6 | 35.7 | |
1,000~5,000만달러 | 267 | 360 | 0.6 | 34.8 | |
5,000만~1억달러 | 9 | 16 | 0.0 | 77.8 | |
1억달러 이상 | 7 | 8 | 0.0 | 14.3 | |
합 계 | 61,198 | 60,480 | 100.0 | △1.2 |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 분석
(1) | 주요 품목 |
10대 수출품목 중 화장품을 제외한 9개 품목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했고, 의약품과 합성수지, 기타기계류 등이 호조세를 보였다. 1위플라스틱제품(+6.2%), 2위의약품(+12.3%), 3위합성수지(+14.8%), 4위화장품(△9.0%), 5위자동차부품(+0.6%) 등이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화장품(‘21.1분기 12.3 → ’22.1분기 11.2억달러)은 중국 수출이 부진하면서 전년 대비 1.1억달러(△9.0%) 감소했다.
의약품의 경우 단가 하락(△13.7%)에도 불구하고, 물량이 크게 증가(+30.1%)하며 수출이 두 자릿수(+12.3%) 확대되었고, 기타기계류, 전자응용기기 등 6개 품목은 단가와 물량이 동반 성장했다. 자동차부품, 반도체 장비 등은 단가가 상승하며 수출을 견인했다.
* (기타기계류) 단가 증감률 15.0%, 물량 증감률 31.2%, 수출액 증감률 50.8%
(전자응용기기) 단가 증감률 1.2%, 물량 증감률 25.4%, 수출액 증감률 26.9%
(2) | 성장 품목 |
전년 동기 대비 특히 증가폭이 두드러진 품목으로는 기타기계류(+2.5억달러), 반도체(+2.5억달러), 철강판(+2.4억달러)이 있다. 기타기계류의 경우, 국내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해외 공장 대규모 증설 등에 힘입어 중국, 미국, 폴란드 등으로 배터리 공정장비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 기타기계류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0.1Q) 6.7(8.1) (‘21.1Q) 5.0(△25.7)
(‘22.1Q) 7.6(50.8)
반도체는 스마트폰·자동차 관련 시스템 반도체가 강한 호조세(56.6%↑)를 보였고, 메모리반도체(21.6%↑)도 모바일 사물인터넷(IoT)용 반도체 위주로 증가했다.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0.1Q) 5.2(0.4) (‘21.1Q) 6.9(32.1) (‘22.1Q) 9.4(36.2)
* 세부품목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시스템반도체) 5.9(56.6) (메모리반도체) 0.1(21.6)
【 수출액 증가분 기준 10대 품목(단위 : 백만달러, %) 】 | ||||||||||||||||||||||||||||||||||||||||||||||||||||||||||||||||||||||||||||||||
|
(3) | 수출 국가 |
상위 10개국 수출액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는데, 독일은 전년동기대비 진단도구(진단키트) 수요가 감소하며 상위 10대국에서 제외됐고, 멕시코가 1.1억달러(18.9%) 증가하며 10위권에 신규 진입했다.
【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단위 : 억달러, %) 】
구분 | 중국 | 미국 | 베트남 | 일본 | 홍콩 | 대만 | 인도 | 인니 | 멕시코 | 태국 |
수출액(억달러) | 57.2 | 44.5 | 29.5 | 29.1 | 8.6 | 8.0 | 7.9 | 7.6 | 6.7 | 6.7 |
수출증감률(%) | 5.3 | 37.4 | 15.1 | 15.3 | 11.2 | 11.2 | 8.6 | 10.2 | 18.9 | 11.1 |
수출증감(억달러) | 2.9 | 12.1 | 3.9 | 3.9 | 0.9 | 0.8 | 0.6 | 0.7 | 1.1 | 0.7 |
미국에는 의약품, 기타기계류의 수출이 급증했고, 멕시코는 철강판, 가전·자동차 부품 수출 호조로 2개국 모두 역대 분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 역대 미국 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44.5(‘22.1Q) (2위) 40.0(‘21.4Q) (3위) 37.9(‘21.3Q)
* 역대 멕시코 1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6.7(‘22.1Q) (2위) 5.7(‘21.1Q) (3위) 4.9(‘19.1Q)
다만, 2월말 시작된 우크라이나 사태로 3월 러시아, 우크라이나 수출이 급감하며(각각 △37.1%, △96.9%), 1분기 대(對)러 수출 증가율이 둔화(2.7%)됐고, 대(對)우 수출은 44.1% 감소했다.
* 러시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1.1Q) 5.5→ (‘22.1Q) 5.6(2.7)
(1월) 2.1(46.9) (2월) 2.1(15.9) (3월) 1.4(△37.1)
* 우크라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 (’21.1Q) 66 → (‘22.1Q) 37(△44.1)
(1월) 22(△11.4) (2월) 15(△4.5) (3월) 0.8(△96.9)
(4) | 온라인 수출 |
온라인 수출은 중기수출 내 비중이 0.6%로 그 규모는 아직 미미하나, 온라인 수출액(+37.1%), 수출 중소기업 수(+42.2%) 모두 40% 전후 큰 폭으로 증가했다.
* 온라인수출액, 증가율(억달러, %): ‘20년 3.5(+145.8) → ’21년 6.7(+91.7) → ’22.1Q 1.6(+37.1)
온라인수출 기업수, 증가율(개사, %): ’20년 1,634(+54.2)→‘21년 3,148(+92.7)→‘22.1Q 1,783(+42.2)
온라인 분야는 화장품(22.8%)과 의류(15.8%) 등이 강세를 보였고, 특히 對미 수출의 증가율이 124%로 돋보였다. 특히, 국내 온라인 총 수출액 2.2억달러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2%에 이르는 등 온라인 수출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품목(백만 달러, %) 】 |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국가(백만 달러, %) 】 | ||||||||||||||||||||||||||||||||||||||||||||||||||||||||||||||||
|
|
[별첨] ’22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상세분석
ㅇ 본 동향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2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실적 분석 ㅇ 수출기업수는 수출자(화주) 기준 사업체수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기업규모 구분(대?중견?중소)은 발표당시 가장 최근 기업규모별 변동현황을 반영하여 작성 * (대기업) ’22.2월 공정위 대규모 기업집단 반영, (중견기업) ‘20년 결산 기준(산업부) ㅇ 연간 통계확정시(’23.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신연재 사무관(☎ 044-204-750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