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 개편 1년, 유형별 편중 현상 완화 등 개선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416 | 등록일 2022-03-17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99655&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벤처다운 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시행(‘21.2.12)한 이후 1년의 변화와 성과를 발표했다.


1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개편 개요


’벤처기업확인제도‘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벤처기업법)?에 규정된 일정 요건을 갖추고 기술 혁신성 및 사업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확인해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개편 전의 공공기관 중심 벤처확인제도(’06~‘20)는 벤처기업 수의 양적 확대*에는 크게 기여했으나, 보증?대출 유형에 편중(85%)됐다는 지적 등이 있어 보증·대출 유형은 폐지하고,

    * 벤처기업 수(개) : 17년간 연속 증가해 사상 최대  (’03) 7,702 → (’20) 39,511
’민간전문가 중심의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 여부를 판단하는 제도로 개편(’21.2.12)했다. <참고 1>

새롭게 신설된 혁신성장유형의 경우 기술 혁신성과 사업 성장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업의 업력과 업종에 따라 차등화된 평가지표를 마련해서 기업인,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을 확인하는 데에 활용하고 있다.

가. 일반 현황

벤처기업수는 벤처기업법에 따른 확인제도가 시행된 ‘98년 2,042개사에서 제도 개편 전인 ’20년 말에는 39,511개사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 ‘제2벤처열기(붐) 조성’ 등 벤처생태계의 기반을 형성했다.


제도 개편 후인 ‘21년말에는 38,319개사로 전년말 대비 1,192개사가 감소했는데, 이는 ’21년에 확인받은 기업수(17,956개사)보다 벤처확인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업(19,133개사) 등이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제도가 변경되기 전 벤처확인을 앞당겨 받은 기업이 증가했고, 제도 변경(‘21.2.12) 직후인 ‘21년 상반기에는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 당해연도 확인받은 벤처기업수 >

구 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개편 전 (‘20년)
4,638
6,109
5,078
5,069
20,894
개편 후 (‘21년)
3,545
4,904
4,923
4,584
17,956

나. 유형별 벤처확인 현황

벤처기업 전체를 유형별로 보면, 제도변경 직전인 ‘20년말에는 보증?대출 유형이 가장 높은 85.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1년 2월에 혁신성장유형이 신설되면서 ’21년말에는 벤처투자유형 7.3%에서 10.5%, 연구개발유형이 7.3%에서 11.6%로 증가했다.

< 유형별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20년말 기준
‘21년말 기준
비율증감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2,888
7.3
4,022
10.5
3.2%p
연구개발유형
2,886
7.3
4,454
11.6
4.3%p
보증대출유형
33,615
85.1
20,180
52.6
▽32.5%p
혁신성장유형
-
9,485
24.8
24.8%p
예비벤처
122
0.3
178
0.5
0.2%p
합계
39,511
100.0
38,319
100.0





2

 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 - ’21년 최초 확인 받은 기업 중심


제도 개편 전?후로 각 1년간의 기간동안 재확인을 제외한 처음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을 통해 ①유형 편중 현상 완화, ②창업기업의 비중 증가, ③지식기반 서비스업 증가, ④비대면기업 증가 등의 변화를 확인했다.

벤처기업확인제도 개편 후 변화와 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개편 전 1년(‘20.2~’21.1)간 최초로 확인받은 6,947개와 개편 후 1년(‘21.2~’22.1)간 최초로 확인받은 4,876개사를 분석했다.

    ※ 각 기간 중 재확인 받은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
가. 유형 편중 현상 완화

제도 개편 후 1년간 신규기업의 경우 벤처투자 유형이 11.1%에서 18.9%로 증가하고, 연구개발유형은 5.1%에서 10.8%로 증가하는 등 제도 시행에 따른 ‘유형 편중 현상 완화’를 보여주고 있다.

< 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20년말 vs. 21년말)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벤처투자유형
774
11.1
921
18.9
연구개발유형
351
5.1
525
10.8
보증대출유형
5,822
83.8
-
-
혁신성장유형
-
-
3,430
70.3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러한 경향은 개편 후 1년간(‘21.2~’22.1)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의 유형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재확인을 받은 10,926개사 중 개편 전에 보증·대출 유형으로 확인을 받았던 8,829개사 중 18%에 해당하는 1,588개사는 연구개발유형으로 이동했으며, 혁신성장유형으로는 6,767개사가 이동해 보증?대출유형의 편중 현상이 완화됐다.

< 개편 후 재확인 기업의 유형 이동 현황 >

       기존유형
신규유형
벤처투자유형
연구개발유형
보증대출유형
합계
벤처투자유형
937개사(92.3%)
60개사(5.5%)
474개사(5.4%)
1,471개사
연구개발유형
40개사(3.9%)
825개사(76.3%)
1,588개사(18.0%)
2,453개사
혁신성장유형
38개사(3.8%)
197개사(18.2%)
6,767개사(76.6%)
7,002개사
합계
1,015개사(100%)
1,082개사(100%)
8,829개사(100%)
10,926개사

나. 유형 변화에 따른 창업기업 비중 증가

제도 변경 후 혁신성을 강조하는 평가기준 도입과 업력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지표 운영 등에 따라

업력이 3년이상 7년 미만의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폭 증가했으며, 상대적으로 7년 이상의 기업의 비율은 소폭 감소했다.

< 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3년미만
4,495
64.7
3,135
64.3
3년이상 7년미만
1,402
20.2
1,035
21.2
7년이상
1,050
15.1
706
14.5
합계
6,947
100.0
4,876
100.0


이는 7년 이상의 기업이 보증·대출 등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벤처확인을 받아온 종전과 달리,

7년 이상의 벤처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세액 감면 혜택 등이 적어 별도로 벤처확인을 받을 필요성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유형별로 보면 벤처투자유형의 경우 3년 미만 기업과 3년에서 7년 사이의 기업 비중이 각각 9.2%에서 15.3%, 1.5%에서 3.0%로 증가했으며,

연구개발유형의 경우에도 각각 3.4%에서 6.2%, 1.0%에서 2.7%로 증가했다.

< 개편 후 유형별·업력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3년 미만
3년 이상 7년 미만
7년 이상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640(9.2%)
746(15.3%)
105(1.5%)
146(3.0%)
29(0.4%)
29(0.6%)
774(11.1%)
921(18.9%)
연구개발
235(3.4%)
301(6.2%)
65(1.0%)
134(2.7%)
51(0.7%)
90(1.8%)
351(5.1%)
525(10.8%)
보증대출
3,620(52.1%)
-
1,232(17.7%)
-
970(14.0%)
-
5,822(83.8%)
-
혁신성장
-
2,088(42.8%)
-
755(15.5%)
-
587(12.0%)
-
3,430(70.3%)
합계
4,495(64.7%)
3,135(64.3%)
1,402(20.2%)
1,035(21.2%)
1,050(15.1%)
706(14.5%)
6,947(100%)
4,876(100%)


또한 기업 대표자의 연령이 청년층(~39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의 확인 비율이 25.5%에서 28.2%로 증가해

벤처기업 대표자의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결과와 함께 20세 미만의 대표자가 운영하는 2개사*도 벤처기업 확인을 받았다.

    * 1) ㈜틴스튜디오(대표자 상정태, ’04生) : 문화상품 가게(굿즈샵) 체제(플랫폼) 서비스 <참고 2>
      2) ㈜파일러(대표자 오재호, ‘02生) : AI 기반 디지털 광고 솔루션

< 대표자 연령대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10대
-
-
2
0.0
20대 ~ 30대
1,770
25.5
1,373
28.2
40대 ~ 50대
4,552
65.6
3,140
64.4
60대 이상
621
8.9
361
7.4
합계
6,943*
100.0
4,876
100.0

    * 대표자 생년월일 파악 불가 기업 4개사 제외
다. 제조업 감소,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 증가

제도 변경 후 기술?사업성의 혁신성이 높게 고려되는 평가 특성에 따라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은 35.8%에서 40.5%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의 비율은 55.8%에서 48.5%로 감소했다.

< 업종별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제조업
3,878
55.8
2,365
48.5
지식기반 서비스업
2,490
35.8
1,975
40.5
그 외 업종
579
8.3
536
11.0
합계
6,947
100.0
4,876
100.0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식기반 서비스업에서 벤처투자유형은 개편 전·후 7.2%에서 12.3%로, 연구개발유형의 경우 2.3%에서 5.0%로 각각 증가했다.

< 개편 후 업종별·유형별 신규 벤처기업수 분포 변화 (기업수, 비율) >

유형
제조업
지식기반 서비스업
그 외 업종
총합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개편전
(‘20.2~’21.1)
개편후
(‘21.2~’22.1)
벤처투자
152
(2.2%)
158
(3.2%)
499
(7.2%)
600
(12.3%)
123
(1.8%)
163
(3.3%)
774
(11.1%)
921
(18.9%)
연구개발
163
(2.4%)
242
(5.0%)
158
(2.3%)
242
(5.0%)
30
(0.4%)
41
(0.8%)
351
(5.1%)
525
(10.8%)
보증대출
3,563
(51.3%)
-
1,833
(26.4%)
-
426
(6.1%)
-
5,822
(83.8%)
-
혁신성장
-
1,965(40.3%)
-
1,133
(23.2%)
-
332
(6.81%)
-
3,430
(70.3%)
합계
3,878
(55.9%)
2,365
(48.5%)
2,490
(35.8%)
1,975
(40.5%)
579
(8.3%)
536
(11.0%)
6,947
(100%)
4,876
(100%)
 

지식기반 서비스업 내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12.0%→13.3%)‘, ’정보서비스업(13.2%→14.7%)‘, ’연구개발업(7.8%→10.6%)‘이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업종별 비중을 통해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4차 산업혁명 도래‘ 등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라. 비대면 벤처기업의 비율 증가

최근 코로나 세계적 유행(팬데믹) 이후, 비대면 기업 분류를 시작한 ’20년말 25.6%에서 1년이 지난 ‘21년말에는 33.1%로 비대면 벤처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비대면/대면 신규 벤처기업수 현황 >

구분
개편전 (‘20.2 ~ ’21.1)
개편후 (‘21.2 ~ ’22.1)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대면 벤처기업수
5,174
74.5
3,260
66.9
비대면 벤처기업수
1,773
25.5
1,616
33.1
합계
6,947
100.0
4,876
100.0




3

 향후 제도 개선 계획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가 안정적인 운영을 보임에 따라 ’벤처기업확인위원회‘는 꾸준한 내부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신규 신청기업과 재확인 신청기업간의 평가지표를 차별화 할 예정이다.

특히, 재확인 신청기업의 경우 기존의 확인기간 동안에 발생한 기업의 혁신성 증가 정도에 따라 벤처기업 확인여부를 판단하는 등 평가지표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평가지표 내에 업종?분야?연차별로 평가지표를 차별화하고 기업이 평가지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신청기업의 다양한 기업특성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선 중에 있다.
아울러,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됨에 따라 ’벤처기업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통계자료도 다양화해져 일반인들이 쉽게 벤처기업 통계를 알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다.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정 준 위원장은 "지난 1년 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위원들께서 벤처다운 혁신기업 선별의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잘 수행하고 계시고 있으며,

민간주도 벤처확인제도 정착과 혁신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사명감과 애정을 갖고 지난 1년간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확인위원회와 전문평가기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벤처확인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안정화를 이룬 것으로 평가한다”며,

“향후 혁신성장 유형의 평가지표를 고도화하면서 벤처투자유형과 연구개발 유형 기준도 현시점에 부합한 지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