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창업 증가 속, 기술창업 역대 최대 23만개 달성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058 | 등록일 2022-02-24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96843&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발표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21년 전체창업은 141만 7,973개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은 ’20년 대비 4.5%(66,694개)가 감소*했으나, ’20년도 소득세법 개정(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 사업자 등록 의무화, ‘20.1월) 시행에 따라 사업자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5.1%(53,775개) 증가** 했다.
 
* 연간 창업기업(개) : (’17) 1,256,267 → (’18) 1,344,366 → (’19) 1,285,259 → (’20) 1,484,667 → (’21) 1,417,973
** 연간 부동산업 제외 창업(개) : (’17) 951,694 → (’18) 977,405 → (’19) 1,005,462 → (’20) 1,046,814→ (’21) 1,100,589
 
도?소매업도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20년 대비 9.1% 증가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지침으로 인해 ’20년 창업이 감소(4.7%↓)한 개인서비스업은 ’21`년에 4.0%가 증가하는 등 일부 대면업종에서 회복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24.0%↑), 전문과학기술업(19.7%↑) 등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술기반업종창업*(이하 ‘기술창업’)은 역대 최초로 23만개를 돌파했다.
 
* 연간 기술창업 수(개) : (’17) 198,911 → (’18) 212,237 → (’19) 220,607 → (’20) 228,949 → (’21) 239,620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
 
전체창업 추이 실질 창업* 추이 기술창업 추이

* 부동산업 제외한 창업
점선은 추세선임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뤄낸 가시적 성과로 정부가 추진한 다양한 창업?벤처 정책이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17년 중기부 출범 이후 정부는 연간 6천억원 수준의 창업지원 예산 규모를 꾸준히 증액하여 ‘21년에는 ’17년 대비 2배 이상 증액된 1.4조원을 집행했다. ‘17년 기준 2.4조원 수준의 벤처투자도 꾸준히 증가하여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7.7조원을 달성했다.
 
* 연도별 중앙부처 창업지원예산(조원) : (’17)0.6→(’18)0.8→(’19)1.1→(’20)1.4→(’21)1.4
** 연도별 벤처투자액(조원) : (‘17)2.38→(‘18)3.42→(‘19)4.27→(’20)4.30→(’21)7.68
 
그간 정부의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확대도 창업기업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5년간 ‘중소기업 전용 연구개발(R&D) 예산 2배 확대’를 국정과제로 정하여 지원을 확대하고, 중기부 연구개발(R&D) 예산도 7천억원 이상 증액하는 등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했다.
 
* 중소기업 전용 R&D 예산(조원): (‘17)1.17→(‘18)1.54→(‘19)1.72→(‘20) 2.31→(‘21)2.47→(‘22)2.49
** 중기부 R&D 예산(조원): (’17) 1.12 → (’18) 1.09 → (’19) 1.07 → (’20) 1.48 → (’21) 1.72 → (’22) 1.83
 
 
업종별 동향
 
도·소매업은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20년 대비 9.1% 증가했고, 개인서비스업은 ’20년(‘20년 4.7%↓, ‘21년 4.0%↑)과 달리 증가했다.
 
반면에 숙박·음식점업은 ’20년에 비해 ’21년에는 감소폭이 축소되었고(‘20년 10.0%↓, ‘21년 3.2%↓), 부동산업은 소득세법 개정에 따른 기저효과로 ’20년 대비 창업이 27.5% 감소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기술창업
’20년 1,484,667 390,055 166,548 53,962 437,853 207,300 228,949
’21년 1,417,973 425,446 161,283 56,120 317,384 218,120 239,620
(△4.5) (9.1) (△3.2) (4.0) (△27.5) (6.2) (4.7)
* ( ) : 전년대비 증가율(%)
 
특히, 기술창업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위주의 정보통신업(24.0%)과 온라인광고업(포털배너, SNS 활용 광고 등)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과학·기술업(19.7%)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며 ’20년 대비 4.7%(10,671개) 증가했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
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20년 228,949 49,928 36,760 54,411 36,906 39,056 4,939 6,949
’21년 239,620 47,989 45,578 65,134 27,992 40,793 5,094 7,040
(4.7) (△3.9) (24.0) (19.7) (△24.2) (4.4) (3.1) (1.3)
* ( ) : 전년대비 증가율(%)
 
연령별 동향
 
연령대별로는 청년층 창업은 4.3%(20,875개)가 증가한 반면, 부동산업 창업이 급감함에 따라 40대 이상 연령대의 창업이 감소했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 시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증가했다. 기술창업은 40세 이상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감율(%, 전년대비) :
(30세미만) 16.8 (30대) △3.6 (40대) △21.9 (50대) △30.9 (60세이상) △43.9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20년 174,728 315,784 490,512 391,010 361,259 240,438
’21년 183,956 327,431 511,387 382,474 326,261 195,678
(5.3) (3.7) (4.3) (△2.2) (△9.7) (△18.6)
부동산업 제외 ’20년 160,640 266,662 427,302 276,089 222,693 119,714
’21년 167,499 280,071 447,570 292,719 230,571 127,958
(4.3) (5.0) (4.7) (6.0) (3.5) (6.9)
  기술창업 ’20년 28,852 60,366 89,218 70,027 48,101 21,383
’21년 28,128 61,620 89,748 75,386 51,442 22,746
(△2.5) (2.1) (0.6) (7.7) (6.9) (6.4)
* ( ) : 전년대비 증가율(%)
 
조직형태별 동향
 
법인창업*은 ’20년 대비 2.9%(3,600개) 증가했고, 개인창업**은 5.2%(70,294개) 감소했다.
 
* 연간 법인 창업기업(개) : (’18) 102,372 → (’19) 109,520 → (’20) 123,305 → (’21) 126,905
** 연간 개인 창업기업(개) : (’18) 1,241,994 → (’19) 1,175,739 → (’20) 1,361,362 → (’21) 1,291,068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20년 대비 2.3%(2,372개), 개인창업은 5.5%(51,403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간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개) : (’18) 92,144 → (’19) 94,766 → (’20) 104,496 → (’21) 106,868
** 연간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개) : (’18) 885,261 → (’19) 910,696 → (’20) 942,318 → (’21) 993,721
 
법인창업은 금융보험업(34.9%↑), 전문·과학·기술업(14.5%↑), 정보통신업(14.0%↑) 등의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제조업(12.8%↓), 전기·가스·공기(29.1%↓), 도·소매업(1.8%↓) 등의 업종에서 감소했다.
 
개인창업은 정보통신업(27.2%↑), 금융보험업(27.1%↑), 전문·과학·기술업(21.6%↑) 등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부동산업(29.0%↓), 사업시설관리(20.6%↓), 수도·하수·폐기(15.3%↓) 등 업종에서 감소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법인은 3.5%(1,601개), 개인은 4.9%(9,070개) 각각 증가했다.
 
* 연간 법인 기술창업(개) : (’18) 39,901 → (’19) 41,010 → (’20) 45,236 → (’21) 46,837
** 연간 개인 기술창업(개) : (’18) 172,336 → (’19) 179,597 → (’20) 183,713 → (’21) 192,783
 
지역별 동향
 
지역별로는 경기(2.0%↑) 지역만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으나, 부동산업 제외 시 대부분 지역(13개 지역)에서 증가하고 광주(0.8%↓), 전북(4.0%↓), 전남(2.3%↓) 등의 5개 지역에서만 창업이 감소했다.
 
< ’21년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10.7 △4.3 △4.6 △0.2 △9.5 △9.7 △13.6 2.0 △7.9
부동산업 제외 3.8 3.9 4.6 7.9 △0.8 4.4 △1.3 10.3 △0.8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3.8 △1.6 △10.8 △10.6 △10.1 △3.9 △5.9 △6.4 △4.5
부동산업 제외 5.1 4.2 9.8 △4.0 △2.3 3.4 3.8 4.8 6.9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정책통계분석과 정해진 사무관(☎ 044-204-7471)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21년 연간 창업기업 동향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1) 증가 업종
 
□ (건설업)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의 성장과 공공·민간부문의 건설수주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실내건축·건축마무리 공사업, 주택건설업, 건설장비 운영업 등의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21년 하반기는 증가폭이 크게 축소되었지만, ‘21년 상반기 두 자릿수의 양호한 증가로 ‘20년에 비해 크게 창업이 증가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건설업 16,166 16,135 66,366 19,886 18,577 16,759 16,267 71,489
(2.6) (3.6) (0.1) (11.9) (14.1) (3.7) (0.8) (7.7)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종합건설업, 전문직별공사업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건물건설업, 실내건축공사업, 건설장비 운영업 등이 크게 증가
 
- 국내 공공·민간 건설수주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 착공면적과 건설기성, 건설허가면적 등이 증가하면서 건물건설업과 실내건축공사업 등 창업이 증가
 
* 건설수주 증가율(전년대비, %) : (’19년) 7.6 → (’20년) 16.4 → (’21년) 8.5
** 건설기성 증가율(전년대비, %) : (’19년) 0.6 → (’20년) △2.6 → (’21년) 4.0
*** 건설허가면적 증가율 (전년대비, %) : (’19년) △10.4 → (’20년) 2.1 → (’21년) 17.6
**** 건설착공면적 증가율 (전년대비, %) : (’19년) △9.5 → (’20년) 12.8 → (’21년) 9.4
 
- 실내건축공사업은 자가거주 확대에 따른 인테리어 증가와 내방객 감소에 따른 영업장 리모델링(포장, 배달 등) 확대로 창업이 증가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시장규모(조원) : (’00년) 9.1→(‘10년) 19→(’16년) 28.4→(‘20년) 41.5
 
- 건설장비 운영업은 건설업의 전반적인 호황과 함께 장비 렌트사업 규모가 커지는 과정에서 함께 증가한 것으로 판단됨
 
* 산업기계 및 장비 렌탈시장 규모 : ’20년 11.8조원으로 렌탈 시장(40.1조원)의 29% 비중(KT경제경영연구소)
 
ㅇ (연령별) 30세 미만과 60세 이상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했으며 40~50대 중·장년층의 신규창업도 활발
 
* ’21년 연령별 건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4, (30대) 8.6, (40대) 4.0, (50대) 6.0, (60세이상) 16.9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1년 건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1 (개인) 9.0
 
□ (도·소매업)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 지속 등으로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통신판매업의 증가세가 ‘19년부터 견조하게 지속되는 모습
 
ㅇ (월별동향) ‘21년 상반기 두 자릿수의 양호한 증가세 이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는 증가폭이 축소되었지만 ’21년 전체는 견조한 증가세 유지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도·소매업 100,883 102,424 390,055 15,188 105,733 102,095 102,430 425,446
(26.8) (21.6) (17.0) (26.3) (10.6) (1.2) (0.0) (9.1)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도매업은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무점포소매업을 중심으로 소매업은 지속 증가
 
- 무점포소매업 중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증가
 
- ‘21년 온라인 쇼핑 창업은 중개플랫폼 성장과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구매로의 쏠림현상 등이 작용
 
- 온라인 쇼핑 창업은 오프라인 창업에 비하여 창업의 문턱이 낮으며, 특히 중개플랫폼이 온라인 창업에 긍정적 영향(별도 쇼핑몰 구축이 필요 없고, 사업관련 판매자 무상교육 진행 등)
 
- 그간 ICT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구매형태를 변경하고 있던 가운데, 코로나19 지속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구매형태의 가속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창업자들과 기존 판매자들이 온라인시장으로 진출
 
* ‘21년 온라인쇼핑 매출액(조원) : (’20년) 159 → (’21년) 192
** 온라인 쇼핑 매출 증감률(전년대비, %) : (’20) 16.7→(‘21) 21.0
*** 판매자들의 74%가 오픈마켓을 통한 매출증대 효과가 있고, 83.3%가 오픈마켓
이용에 만족 및 90%가 지속적으로 이용 계획(온라인쇼핑협회 조사, 2020년)
 
ㅇ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신규 창업이 활발한 가운데 40대 이상이 도·소매업 창업 증가를 주도
 
* ’21년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4.1, (30대) 8.6, (40) 13.2, (50) 8.8, (60세이상) 11.2
 
ㅇ (조직형태별) 개인창업은 양호한 증가를 보이나, 법인창업은 ‘20년 대비 기저효과 영향으로 소폭 감소
 
* ’21년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8 (개인) 10.1
 
□ (운수·창고업) 배달업 확대와 플랫폼기반 운송업이 증가하면서 소화물운송업, 택시운송업 등의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20년 감소에서 ‘21년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증가세가 지속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운수·
창고업
15,106 15,595 61,463 16,435 17,520 15,833 16,935 66,723
(2.8) (0.1) (△2.2) (1.9) (19.7) (4.8) (8.6) (8.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육상여객운송업, 도로화물운송업 및 소화물전문운송업이 증가
 
- 육상여객운송업 중 택시운송업, 도로화물운송업 중 개별화물자동차운송업, 소화물전문운송업 중 늘찬배달업이 증가
 
 
- 국내외 백신접종율(3차 부스터샷 포함) 상승에 따른 글로벌 물동량 증가가 국내 운송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수출 : (‘20년) 5,125억불 → (’21년) 6,445.4억불 : 전년대비 25.8%↑(관세청)
** 수입 : (‘20년) 4,676.3억불 → (’21년) 6,150.5억불 : 전년대비 31.5%↑(관세청)
***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율(전년대비, %): (‘19년) 0.6 → (’20년) △1.8 → (’21년) 5.9e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산업 전망, 2021년)
 
- 비대면 구매와 소비가 늘면서 택배화물도 함께 지속 성장
 
* 택배물동량 증가율(전년대비, %): (‘19년) 9.7 → (’20년) 20.9 → (’21년) 10.6e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산업 전망, 2021년)
 
- 택시운송업의 경우 ‘20년 감소의 기저효과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른 여객 이동량 증가 등으로 택시운송업 증가를 견인
 
- 일반택시(개인·법인택시) 외 콜벤, 승용차 부정기·비노선 운송서비스 등의 형태*가 증가, 다만 ‘21년 일반택시 기업**은 감소
 
* 택시운송업 : 개인택시 운송업, 리무진 택시 운송, 모범택시 운송, 승용차 부정기 비노선 운송서비스, 승용차 임대(운전자 포함), 영업용 택시 운송, 콜밴 승객 운송
** 면허대수: (’20년) 251,083대 → (‘21년) 250,023대;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ㅇ (연령별) 30세 미만과 50대 이상에서 신규창업이 활발
 
* ’21년 연령별 운수·창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4, (30대) 3.6, (40대) 5.7, (50) 10.6, (60세이상) 13.5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1년 운수·창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9.1 (개인) 8.5
 
□ (정보통신업) 디지털 전환의 급속한 진행과 K-콘텐츠 급부상 등으로 영상 및 ICT 기반 투자가 증가하면서 소프트웨어개발·공급, 영화?비디오물?방송 프로그램 제작 등 창업 활발
 
ㅇ (월별동향) 코로나19에 따른 환경 변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업종으로 ‘20년에 이어 두 자릿수로 신규창업이 증가하는 추세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정보
통신업
9,793 9,608 36,760 10,758 11,686 11,796 11,338 45,578
(25.0) (28.3) (21.2) (31.8) (27.1) (20.5) (18.0) (24.0)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영화·비디오제작·배급업(영화, 비디오, 방송프로그램 등)이 증가
 
* 교육·기업관리·물류관리·의료·회계 등 특정한 업무 처리를 위한 응용소프트웨어와 스마트폰앱 등 모바일용 응용소프트웨어 등을 개발·공급하는 활동
 
- 4차 산업혁명, 메타버스(Metaverse) 등 ICT 기반 산업으로의 투자 확대와 성장이 진행되면서 창업이 증가
 
- SW개발업 특성상 1인 기업(프리랜서 등)이 많은 측면이 창업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또한, 2020년 7월 발표된 디지털 뉴딜은 역대 수준의 공공부문 SW수요 증가 기대요인 상승으로 예비 SW창업자들에게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넷플릭스 등 OTT서비스 시장 확대에 따른 투자 증가 등으로 국내 영상·비디오제작·배급업 관련 산업의 신규창업 활발
 
* OTT 사용자(만명) : (’19.1월) 232 → (’20.1월) 316 → (’21.1월) 424 → (’22.1월) 473
** OTT 사용시간(만시간) : (’19.1월) 241 → (’20.1월) 354 → (’21.1월) 527 → (’22.1월) 547
 
ㅇ (연령별) 40~50대를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가운데 모든 연령대에서 두자릿 수 이상 신규 창업이 증가
 
* ’21년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4.4 (30대) 20.8 (40) 27.5 (50) 32.6 (60세이상) 21.6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모두 창업이 증가
 
* ’21년 정보통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4.0 (개인) 27.2
 
□ (전문·과학·기술) 온라인시장 확대에 따른 전문디자인업(일반디자인, 웹/모바일 디자인 등) 성장과 컨설팅 시장 확대로 전문서비스업 창업 증가
 
ㅇ (월별동향) ‘20년의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21년은 ‘20년 대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전문·과학·
기술
13,861 13,950 54,411 16,214 16,254 16,406 16,260 65,134
(21.4) (13.7) (17.2) (19.5) (24.7) (18.4) (16.6) (19.7)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전문서비스업, 기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이 증가했으며 전문서비스업 중 회사본부 및 경영컨설팅업, 기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전문디자인업이 증가
 
- 상대적으로 낮은 창업위험, 컨설팅에 대한 신규 수요 확대(안전관리, 산업의 디지털화 전환 등), 퇴직한 고급유휴인력 증가 등으로 컨설팅산업의 창업이 활발
 
* 경영컨설팅업 등록은 자격조건이 없고, 노트북과 휴대폰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직무수행이 가능하고, 경력이 10~20년 이상이면 전문가로 창업이 비교적 쉬움
 
- 스마트공장, 로봇,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Big Data)를 중심으로 하는 ICT산업 호황으로 컨설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창업 증가
 
- 또한, 정부 및 지자체의 기업컨설팅 지원이 확대되고 증가한 수요에 맞추어 컨설팅 업계로 진출이 활발해지는 영향으로 창업이 증가
 
- 디지털화(Digitization)로의 산업형태 변화와 상품의 질과 함께 시각적 디자인 중요성 증가 등으로 전문디자인업은 제품 외관을 꾸미는 ‘스타일링’ 뿐만 아니라 제품·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설득형 디자인’을 구현하는 영역으로 업무를 확장하고 있음
 
- 특히, 플랫폼 기반의 비대면 서비스 환경 적응 여부에 의해 경쟁력이 좌우됨에 따라 UX/UI디자인 및 이를 수준 높게 설계해낼 수 있는 전문디자인기업이 증가하는 추세
 
ㅇ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고르게 증가했고 다른 업종에 비해 40대 이상의 신규 진입이 크게 증가
 
* ’21년 연령별 전문·과학·기술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1 (30대) 16.5 (40) 22.2 (50) 26.2 (60세이상) 17.0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1년 전문·과학·기술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4.5 (개인) 21.6
 
□ (금융·보험업) 대내외 유동성 확대와 제판분리 현상,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 등으로 금융업 및 ‘보험대리및중개업’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20년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21년 전체 전년대비 두 자릿수의 증가로 증가폭이 크게 확대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금융·
보험업
2,235 2,137 8,245 2,578 3,112 2,597 2,546 10,833
(9.6) (2.4) (6.5) (26.9) (69.0) (16.2) (19.1) (31.4)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금융업 및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이 증가한 가운데 세부업종별로는 기타금융업, 보험·연금관련서비스업 등이 크게 증가
 
- 금융업은 금리상승, 금융의 디지털화 진행(가상자산 등장)에 따른 신규 진입 증가 등으로 금융업 창업이 증가
 
- 자본금 관련 규제완화 등으로 많은 기업들이 설립되는 가운데 개인들의 Venture Capital 법인 설립(자본금 20억원)이 증가
 
* 개인 금융업 창업기업 수 및 증가율 : (‘20년) 1,188개 → (’21년) 1,106개(6.9%↓)
** 법인 금융업 창업기업 수 및 증가율 : (‘20년) 3,814개 → (’21년) 5,387개(41.2%↑)
 
- ‘보험대리및중개업’을 중심으로 한 창업기업의 증가는 제판분리와 핀테크·간편결제 기업, 통신사, IT기업 등의 증가에 기인
 
- 최근 핀테크·간편결제 기업, 통신사, IT기업 등이 외부 판매망을 통해 금융판매대리중개업에 진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음
 
ㅇ (연령별) 40대 이상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증가했으며 청년층(39세 이하)의 신규창업도 활발
 
* ’21년 연령별 금융·보험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4.9 (30대) 16.5 (40) 43.7 (50) 43.2 (60세이상) 28.7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
* ’21년 금융·보험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34.9 (개인) 27.1
 
(2) 감소 업종
 
□ (제조업) ’21년 상반기에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일정부분 해소(백신공급확대, 수출반등) 되면서 제조업 감소세는 다소 둔화
 
ㅇ (월별동향) ‘21년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크게 확대되면서 제조업 창업 감소폭은 다소 축소
 
* 제조업 생산/전체수출 증가율(%) : (’19년) 0.5/△10.4 → (‘20년) △0.3/△5.5 → (’21년) 7.1/25.7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제조업 12,993 11,533 49,928 12,736 12,238 11,690 11,325 47,989
(3.5) (△3.2) (△4.6) (△1.8) (△1.5) (△10.0) (△1.8) (△3.9)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음식료품, 비금속광물제품, 1차금속제품, 금속가공제품, 자동차·트레일러 등은 증가했으며, 일부 업황 부진 및 기저효과 등으로 섬유제품, 화학물질·제품,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등은 감소
 
- 섬유제품은 마스크 등 방역용품의 국내생산·해외생산 감소, 과잉공급 및 채산성 감소 등의 영향이 작용하여 창업이 감소
 
- ‘21년 제조업 창업은 47,989개로 전년대비 3.9%(1,939개↓) 감소하였으며, 섬유제품제조업이 전체 제조업의 감소를 견인
 
* 용도별 마스크 생산(백만개, 전년대비 %) : 보건용/KF80(82.6, -21.9), 비말차단용/KF55~80(1.2, -95.1), 수술용(9.6, -0.5)
** 비말차단용 마스크 가격(원, 전년동기대비 %) : 온라인(380, -30.4), 오프라인(624, -9.0)
 
ㅇ (연령별) 30세 미만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하는 가운데 특히, 50대를 중심으로 크게 감소
 
* ’21년 연령별 제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0.6 (30대) △3.3 (40대) △3.7 (50대) △6.4 (60세이상) △2.4
 
ㅇ (조직형태별) 개인 창업은 증가, 법인 창업은 감소
 
* ’21년 제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2.8 (개인) 0.1
 
□ (전기·가스·공기) 최근 2~3년간 창업패턴이 소규모 발전사업자에서 대규모 발전사업자로 변화되면서 창업 수는 많지 않음
 
ㅇ (월별동향) ‘20년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소 폭이 확대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전기·
가스·공기
7,082 7,079 26,131 5,702 5,550 6,007 6,887 24,146
(9.6) (15.1) (△5.8) (△0.5) (△11.1) (△15.2) (△2.7) (△7.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전기업 중 태양력발전업을 중심으로 감소

- 전기·가스·공기조절업 창업의 경우 태양력발전업이 대부분을 차지
 
- 장기공급계약, 금융조달, 투자 경제성, 인허가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소규모 발전소에서 대규모 사업으로 전환되어 대규모 투자 가능 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게 되면서 신규창업 수가 감소
 
ㅇ (연령별) 30~40대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창업 감소
 
* ’21년 연령별 전기·가스·공기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6.3, (30대) △13.6, (40대) △16.2, (50대) △9.4, (60세이상) △0.7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이 모두 감소
 
* ’21년 전기·가스·공기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9.1 (개인) △7.0
 
□ (숙박·음식점업)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영업제한 및 식재료 가격 급등 등으로 음식점업 창업은 감소, 반면 농어촌민박업 신고 강화 등으로 민박업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20년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20년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숙박·
음식점업
43,193 40,763 166,548 34,906 49,135 36,772 40,470 161,283
(△2.5) (△13.4) (△10.0) (△14.0) (17.0) (△14.9) (△0.7) (△3.2)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음식점업과 주점·비알코올음료점업은 감소하였으며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은 증가
 
- 음식점업 중 한식일반음식점업을 중심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배달 또는 포장 가능한 피자·햄버거·샌드위치·유사음식점이 증가
 
- 주점·비알코올 음료점업 중 주점업은 크게 감소한 반면, 포장판매(일명 ’테이크아웃‘)가 가능한 커피전문점은 크게 증가
 
- 숙박업은 일반·생활숙박시설 운영업 중 민박업과 기타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을 중심으로 증가
 
* 민박업(I55104) : 민박업(농어촌민박업,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숙박공유업
* 기타 일반 및 생활 숙박시설 운영업(I55109) : 생활숙박업
 
- 특히, ’감성 숙소‘를 표방한 펜션업 증가로 농어촌민박업의 창업이 증가
 
-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은 외래관광객이 급감하면서 ‘20년에는 신규 인허가가 감소하였으나, ’21년에는 회복 추세
 
*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신규 등록업체수 : (’19년) 324개소 → (’20년) 213개소 → (‘21년) 250개소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 영업중 사업체 기준)
 
 
ㅇ (연령별) 30대 미만을 제외한 30대 이상 연령대에서 신규창업이 감소
 
* ’21년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6.1, (30대) △0.3, (40대) △6.1, (50대) △9.3, (60세이상) △2.3
 
ㅇ (조직형태별) 법인은 증가하였으나 개인은 감소
 
* ’21년 숙박·음식점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7 (개인) △3.2
 
□ (부동산업) 부동산 임대업에 대한 규제 강화(‘20년 7.10대책 이후)와 ’20년 큰 폭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21년 신규창업이 감소
 
ㅇ (월별동향) ‘20년 초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21년 상반기 크게 감소하였지만 ’21년 상반기부터 증가로 전환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부동산업 76,464 68,579 437,853 78,749 81,924 77,396 79,315 317,384
(20.5) (△23.7) (56.5) (△61.6) (△6.6) (1.2) (15.7) (△27.5)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부동산 임대업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공시가 1억원 미만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 중과 제외에 따라 지방의 부동산 법인 설립이 증가
 
* 법인 부동산업 창업기업: (‘20) 18,809개→(’21) 20,037개(6.5%↑)
 
ㅇ (연령별) 30세 미만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20년 가장 증가한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
 
* ’21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6.8 (30대) △3.6 (40) 21.9 (50) 30.9 (60세이상) 43.9
 
ㅇ (조직형태별) 법인은 증가하였지만, 개인은 감소
 
* ’21년 부동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6.5 (개인) △29.0
 
□ (사업시설관리업) ’20년도 증가의 기저효과와 사회적 거리두기, 감염 두려움 증가 등으로 창업이 감소
 
ㅇ (월별동향) 코로나19 영향 확대 등으로 ‘20년에 비해 두 자릿수 감소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사업시설
관리업
11,909 10,428 47,070 10,834 10,279 8,623 8,939 38,675
(10.6) (△3.9) (6.2) (△9.8) (△19.2) (△27.6) (△14.3) (△17.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소독·구충 및 방제 서비스업과 그 외 기타분류 안된사업지원 서비스업 등이 감소
 
- 소독·구충 및 방제 서비스업은 ‘20년 코로나19 발생으로 급증한 창업의 기저효과와 과당경쟁 등으로 창업이 감소
 
- 그 외 기타분류안된 사업지원서비스업은 디지털화로의 영업방식 변화 등이 작용하여 창업이 감소
 
* 그 외 기타분류안된 사업지원서비스업 분류는 가스검침 대행, 가스계량 대리, 도서상품권 판매 대리, 상조회원 모집 대리, 상품권 판매 대리, 수도계량 대리, 인터넷 가입유치 대행, 전기검침 대행, 전기계량 대리, 휴대폰 개통 대행 및 지원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청년층(39세 이하)에서 눈에 띄게 감소
 
* ’21년 연령별 사업시설관리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3.8 (30) 27.9 (40대) △12.4 (50대) △6.3 (60세이상) △1.2
 
ㅇ (조직형태별) 법인은 소폭 증가했으나 개인은 크게 감소
 
* ’21년 사업시설관리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5 (개인) △20.6
 
□ (예술·스포츠·여가) 공연업, 스포츠시설 등 사람들 간 밀접접촉이 이루어지는 업종으로 코로나19 확산 속 감소세가 지속
 
ㅇ (월별동향) 기저효과와 거리두기단계 단계 조정 등의 영향으로 1/4분기와 3/4분기가 창업이 크게 감소하는 가운데 2/4분기와 4/4분기에서 증가하면서 ‘21년 창업 감소폭은 소폭 축소
(단위 : 개, %)
구분 ‘20년 ’21년
3/4 4/4   1/4 2/4 3/4 4/4  
예술·
스포츠·여가
7,275 6,636 27,904 5,961 7,266 6,051 7,298 26,576
(1.3) (△16.4) (△10.4) (△16.1) (5.5) (△16.8) (10.0) (△4.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ㅇ (세부업종별) 오락장운영업 중 노래연습장, 전자게임장, 컴퓨터게임방과 독서실운영업 등을 중심으로 감소
 
- 컴퓨터 게임방, 당구장 등은 밀폐공간에서의 집단활동 업종으로 호흡기 관련 전염병에 고위험시설로 인식
 
- 또한, 밀폐공간에서의 집단활동에 따른 청년층 감염 증가에 따른 운영 제한 등으로 독서실운영업 창업 역시 감소
 
ㅇ (연령별) 40~50대를 중심으로 창업 감소
 
* ’21년 연령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0.0 (30대) 1.3 (40) 8.5 (50) 9.5 (60세이상) △4.8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 ’21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 (개인) △4.9
참고2   ’17~’21년 주요 업종별 창업 동향
(단위 : 개, %)
구 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전 체 1,256,267 1,344,366 1,285,259 1,484,667 1,417,973
(5.6) (7.0) (△4.4) (15.5) (△4.5)
실질 창업
(부동산업 제외)
951,694 977,405 1,005,462 1,046,814 1,100,589
(3.0) (2.7) (2.9) (4.1) (5.1)
농업, 임업, 어업 및 광업 10,885 10,709 11,990 13,094 13,958
(5.7) (△1.6) (12.0) (9.2) (6.6)
제조업 58,015 57,325 52,317 49,928 47,989
(△1.2) (△1.2) (△8.7) (△4.6) (△3.9)
전기, 가스, 공기조절공급업 25,704 36,758 27,729 26,131 24,146
(284.0) (43.0) (△24.6) (△5.8) (△7.6)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886 955 935 882 752
(4.5) (7.8) (△2.1) (△5.7) (△14.7)
건설업 65,019 67,397 66,279 66,366 71,489
(4.5) (3.7) (△1.7) (0.1) (7.7)
도매 및 소매업 303,545 308,798 333,246 390,055 425,446
(0.0) (1.7) (7.9) (17.0) (9.1)
운수 및 창고업 62,593 62,685 62,854 61,463 66,723
(△2.0) (0.1) (0.3) (△2.2) (8.6)
숙박 및 음식점업 187,221 182,788 185,116 166,548 161,283
(△2.2) (△2.4) (1.3) (△10.0) (△3.2)
정보통신업 23,969 28,751 30,336 36,760 45,578
(7.0) (20.0) (5.5) (21.2) (24.0)
금융 및 보험업 7,238 7,082 7,739 8,245 10,833
(2.4) (△2.2) (9.3) (6.5) (31.4)
부동산업 304,573 366,961 279,797 437,853 317,384
(14.6) (20.5) (△23.8) (56.5) (△27.5)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37,061 40,455 46,413 54,411 65,134
(5.3) (9.2) (14.7) (17.2) (19.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36,193 38,552 44,342 47,070 38,675
(13.9) (6.5) (15.0) (6.2) (△17.8)
교육서비스업 37,514 41,126 42,864 39,056 40,793
(4.9) (9.6) (4.2) (△8.9) (4.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676 6,184 5,527 4,939 5,094
(△6.8) (△7.4) (△10.6) (△10.6) (3.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 36,516 32,757 31,139 27,904 26,576
(3.4) (△10.3) (△4.9) (△10.4) (△4.8)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52,659 55,083 56,636 53,962 56,120
(1.2) (4.6) (2.8) (△4.7) (4.0)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참고3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 (작성근거) 『창업기업 동향(구, 신설법인 동향)』 통계작성 변경승인(통계청 통계조정과-254, ‘19.01.21.)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 및 동법 시행령 제26조
 
□ (작성내용) 월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 창업 동향
 
?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도
 
□ (작성단위) 영리기업
 
? 개인사업자 및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농·축·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를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 (이용 시 유의사항)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 (용어설명)
 
? 기업 :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 창업기업 :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 기술기반창업 :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 (2021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공표일자 비고
2021년 연간 및 12월 창업기업 동향 2022. 02. 24.(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mss.go.kr)와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되며 분기별로 보도자료 발표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