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8407 | 등록일 2020-10-2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6303&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0월 20일(화), ‘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19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20년 3분기 기준 중소기업 수출은 2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했다. 미・중을 비롯해 상위 5개국 대부분의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화장품, 기타정밀화학제품 등 상위 20개 품목 중 13개 품목이 증가세를 보이며 2분기 13.6% 급감한 수출이 빠르게 회복됐다.
 
특히, 9월 수출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9.6% 증가하면서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하더라도 일평균 6.6% 증가로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3분기 플러스 수출을 견인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수출 호조를 보인 K-방역제품, 비대면 트렌드 유망품목은 물론 그동안 부진했던 자동차부품・플라스틱제품・합성수지・철강판 등 주력 수출 품목이 모두 증가로 전환되는 등 긍정적 신호를 보였다.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코로나19 이후의 각 국의 경기 부양과 제조업 회복세에 따라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계측제어분석기 등 장비류 수출이 증가했고 소비경기 회복세로 인한 화장품, 가전제품 등의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K-방역제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더욱 크게 확대되며 진단키트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042%(2분기 1,130% 증가) 증가하는 등 3분기 큰 폭의 성장을 지속했고 비대면 트렌드에 따라 디지털장비・가공식품・취미오락기구 등 비대면 유망품목의 수출 증가세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수출(4.0%)은 전체 수출(△3.2%) 또는 대기업(△5.6%) 및 중견기업(△1.9%) 수출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선전하면서 코로나19로 어려운 우리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등 고무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 19 영향 분석*’ 자료도 함께 발표했다.
 
* 별첨자료 참고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은 코로나의 위기 상황에서도 상대적으로 선전하며 우리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해냈다”고 강조하면서,
 
“온라인 등 새롭게 등장한 수출 기회요인을 놓치지 않고 중소기업 수출을 확대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이 보다 쉽게 온라인 수출을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한 지원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방지현 사무관(☎042-481-447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3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 (총괄) ‘20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한 256억달러
 
ㅇ 코로나19로 2분기 급감(△13.6%)한 수출이 6월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되다가 9월 들어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3분기 플러스 수출을 견인
 
* 분기별 수출 증감률(%): (’20.1Q) 1.7→ (2Q) △13.6→ (3Q) 4.0
** 월수출 증감률(%): (’20.1)△9.4→ (2)12.2→ (3)3.9→ (4)△13.8→ (5)△23.4→ (6)△2.3→ (7)△3.7→ (8)△3.2→ (9)19.6
 
- 일평균 수출액은 7월(△3.7%) 소폭 감소에서 8월(3.4%)~ 9월(6.6%) 증가 전환
2019년 2020년
 
 
ㅇ 미・중을 중심으로 상위 5개국 수출(총수출의 58%)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화장품 등 20대품목(50.8%) 중 13개 품목 호조세
 
 
구분(순위) 중국(1위) 미국(2위) 베트남(3위) 일본(4위) 홍콩(5위) 1~5위 합계
3분기 수출증감률(%) 6.8 13.5 0.9 △11.2 6.7 3.9
총수출 비중(‘20년, %) 22.9 13.1 9.8 8.8 3.4 58.0

 
* 증가품목(13개) : 플라스틱제품, 화장품, 반도체제조용장비, 계측제어분석기,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의약품, 평판DP제조용장비 등
감소품목(7개) : 자동차부품, 합성수지, 기타기계류, 철강판, 기계요소, 원동기부품, 자동차
 
ㅇ 대・중견기업 대비 양호한 실적을 보이며, 총수출 내 중소기업의 수출비중이 전년동기대비 1.4%p 상승
 
 
구 분 2019년 2020년
3분기   3분기    
증감률 비중(A) 증감률 비중(B) (B-A)
중소 246 △5.8 18.2 256 4.0 19.6 +1.4
중견 232 △9.3 17.2 228 △1.9 17.5 +0.3
대기업 867 △14.8 64.3 818 △5.6 62.7 △1.6
총수출 1,347 △12.3 100.0 1,304 △3.2 100.0 -
 
□ (수출기업 수) 3분기(누계) 수출 중소기업 수는 86,400개사로 전년동기대비 0.3% 증가
 
ㅇ 특히,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의약품, 기타섬유제품(마스크) 등 K-방역제품을 수출하는 신규업체가 크게 증가
 
* 수출중소기업수(1~9월 누계기준, ‘19년→’20년): [기타정밀화학제품] 1,946 →3,224(1,278↑), [의약품] 918 → 1,786(868↑), [기타섬유제품] ‘19년 4,715 → ’20.년 8,505(3,790↑)
참고 2   3분기 주요 국가별 세부 수출 동향
 
ㅇ(중국: 58.5억 달러, 6.8%↑) 최근 제조업 경기와 소비 회복세가 뚜렷한 가운데 디스플레이 산업 투자 활황으로 9월 수출이 큰폭으로 증가, ①평판DP제조용장비, 계측제어분석기, 반도체제조용장비(현지 디스플레이 업계 투자 활황으로 관련 장비 및 기기 수출이 강한 호조세), ②화장품(K-뷰티 인기 지속), ③플라스틱(전기차 배터리 분리막, 스마트폰용 테이프 수요 증가), ④합성수지(제조업 성장세 및 전자기기 수요 증대) 품목이 호조세를 보이며 3분기 수출 증가
* 중국 제조업 PMI(국가통계국): (‘20.7)51.1→(8)51.0→(9)51.5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평판DP제조용장비) 500(176.1), (계측제어분석기) 319(44.1),
(반도체제조용장비) 374(8.9), (화장품) 554(13.4),
(플라스틱) 311(6.4), (합성수지) 263(4.8)
 
ㅇ(미국: 33.5억 달러, 13.5%↑) 하반기부터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①자동차부품(완성차 판매시장 회복으로 수출감소세 완화), ②플라스틱(비말 차단용 가림막 수출증가·중국 관계악화로 한국 플라스틱판 수요증가), ③화장품(K-뷰티 인기 상승), ④반도체제조용장비(비대면산업 확산에 따른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투자 확대), ⑤기타정밀화학제품(한국산 진단키트 수요 증가), ⑥영상기기(한국아이돌 음반 수출 대폭 증가)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3분기 수출 큰폭으로 증가
* 미국 제조업 PMI(ISM): (‘20.7)54.2→(8)56.0→(9)55.4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자동차부품) 339(△4.8), (플라스틱) 256(30.0),
(화장품) 156(51.3), (반도체제조용장비) 84(27.4),
(기타정밀화학제품) 84(2,067), (영상기기) 30(97.4)

 
ㅇ(베트남: 25억 달러, 0.9%↑) 제조업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구매자관리지수(PMI)도 상승 추세에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생산량이 증가하며 9월 수출 증가 전환, ①무선통신기기 및 기구부품(국내기업의 스마트폰 신제품출시로 부품 수출 증가), ②광학기기(국내 대기업 현지 TV 생산량 증가로 광학필름 수출 호조) 품목 등의 호조로 3분기 수출 증가
* 베트남 제조업 PMI(마킷): (‘20.7)47.6→(8)45.7→(9)52.2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무선통신기기) 126(41.5), (기구부품) 129(32.7),
(광학기기) 34(102.1)
 
ㅇ(일본: 22.5억 달러, △11.2%) 제조업 경기의 회복세가 더딘 가운데 작년 건설관련 품목 수출 급증이 당기 수출에 기저효과로 작용, ①금형, 레일및철구조물(작년 기저효과), ②자동차부품(현지 생산 차질로 인한 부품 수요 급감) 품목은 부진하였으나, ③기타섬유제품(마스크 수출 급증세 확대), ④화장품(K-뷰티 인기 지속) 품목의 수출 호조로 9월 수출이 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하며, 3분기 수출 감소폭 축소
* 일본 제조업 PMI(지분은행): (‘20.7)45.2→(8)47.2→(9)47.7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금형) 84(△31.8), (레일 및 철구조물) 39(△41.5),
(자동차부품) 51(△38.1), (기타섬유제품) 58(391.5),
(화장품) 127(72.0)

ㅇ(홍콩: 8.8억 달러, 6.7%↑) 중국과의 교류폐쇄 영향으로 ①화장품(홍콩을 경유하는 중국 수출 물량이 중국 직수출로 변경) 품목은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②반도체(글로벌 반도체 수요증대), ③금은 및 백금(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 품목 등의 호조로 7~9월 수출 상승세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화장품) 77(△37.2), (반도체) 155(11.0),
(금은 및 백금) 90(83.7)
 
ㅇ(인도: 7.6억 달러, 23.5%↑) 생산활동을 재개하며 소비시장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이 급증하면서 인도 수출을 견인, ①의약품,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 ②의료위생용품(코로나19 여파로 위생용품 수요 급증), ③합금철선철및고철(전방산업 생산 회복세에 따른 수요 증가) 품목 등의 호조로 3분기 수출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의약품) 191(10,080), (기타정밀화학제품) 81(675.3),
(의료위생용품) 6(408.3),
(합금철선철 및 고철) 31(37.6)
 
ㅇ(대만: 6.6억 달러, 18.8%↑) 제조업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반도체 및 풍력발전분야 투자 증가로 ①반도체제조용장비, 반도체, 기구부품(대만 반도체 공장 증설에 따른 반도체 및 장비 수요 급증),
②레일및철구조물(풍력발전설비 건설에 따른 수요 증가) 품목 수출이 증가하고, ③화장품(K-뷰티 인기)의 수출 호조로 3분기 수출 크게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반도체제조용장비) 97(15.7), (반도체) 51(42.7),
(기구부품) 23(92.2), (레일 및 철구조물) 35(2,239),
(화장품) 27(25.9)
 

ㅇ(러시아: 5.8억 달러, △5.6%) ①화장품(K-뷰티 인기에 따른 수요 급증), ②전자응용기기(코로나19 관련 의료기기 수요 증가) 등의 수출 증가로 9월 수출이 회복하였지만, 최대 수출품목인 ③자동차(중고차를 현지 제조차량으로 대체) 수출이 대폭 감소함에 따라 3분기 전체 수출은 감소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화장품) 63(39.3), (전자응용기기) 28(67.9),
(자동차) 104(△42.4)

ㅇ(인도네시아: 5.6억 달러, △9.1%) ①기타정밀화학제품, 의약품(한국산 진단키트 수요 급증), ②철강관및철강선(대만 풍력설비 제작) 품목의 수출 증가로 9월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 ③편직물, 인조장섬유직물(글로벌 의류 산업 위축으로 원부자재 수요 급감), ④운반하역기계(작년 선박용품 수주 급증이 당기 기저효과로 작용) 품목의 부진으로 3분기 전체 수출은 감소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기타정밀화학제품) 32(316.1), (의약품) 12(492.9),
(철강관및철강선) 24(209.6), (편직물) 39(△26.9)
(인조장섬유직물) 9(△40.2), 운반하역기계 5(△81.7)

ㅇ(태국: 5.0억 달러, △10.3%) ①반도체(현지 TV용 파워모듈 공장 증설 및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 품목의 증가로 9월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 ②철강판(전방산업 부진으로 철강판 수요 감소), ③자동차부품(자동차 판매 부진으로 부품 수요 감소) 품목 등의 부진으로 3분기 전체 수출은 감소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반도체) 23(67.7), (철강판) 49(△18.6),
(자동차부품) 13(△37.2)
구 분 2020년 (단위: 백만 달러, %)
7월   8월   9월   3분기↓   1-9월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중국 2,032 6.7 1,759 △2.3 2,062 16.0 5,853 6.8 16,220 △3.7
미국 1,123 7.2 978 3.8 1,252 29.8 3,352 13.5 9,427 8.2
베트남 870 △1.2 723 △10.4 906 14.7 2,498 0.9 7,182 △5.4
일본 771 △16.8 654 △17.9 828 1.8 2,253 △11.2 7,045 △6.1
홍콩 257 △12.1 280 5.5 342 28.4 879 6.7 2,578 △2.6
인도 205 △11.8 213 6.6 346 85.7 764 23.5 1,782 △13.3
대만 219 10.1 203 13.8 234 33.8 655 18.8 1,905 19.8
러시아 183 △15.6 164 △15.9 232 15.0 578 △5.6 1,546 △12.3
인도네시아 187 △18.8 178 △10.4 199 3.9 564 △9.1 1,659 △12.3
태국 168 △12.9 153 △16.3 181 △1.6 502 △10.3 1,520 △12.9
10대 합계 6,016 △1.8 5,303 △4.7 6,580 18.6 17,899 3.8 50,864 △2.8
총 합계 8,495 △3.7 7,617 △3.2 9,446 19.6 25,558 4.0 72,117 △2.9
 
참고3   3분기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ㅇ (플라스틱제품: 13.8억 달러, 4.1%↑) ①주요국 제조업 경기 위축으로 지난 4월부터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②미국의 비말차단용 가림막 수출 증가, 중국·헝가리 등 주요국의 배터리 분리막 수요가 증가하면서 ③9월 수출이 5개월 만에 두자릿수로 증가, 3분기 수출을 견인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311(6.4), 미국 256(30.0), 베트남 200(△7.0),
일본 80(△8.7), 홍콩 37(2.2), 헝가리 36(96.9)
 
 
ㅇ (화장품: 13.3억 달러, 23.0%↑) ①주요국 소비시장 회복과 더불어 K-뷰티 인기가 계속되면서, ②미·중·일 등 주요국과 신흥시장 수출 모두 호조세, ③6월 두자리수로 플러스 전환된 수출이 지속 증가하며 9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3분기 수출이 크게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554(13.4), 미국 156(51.3), 일본 127(72.0), 러시아 63(39.3), 호주 33(292.4)
 
ㅇ (자동차부품: 9.9억 달러, △14.9%) ①글로벌 완성차 판매 부진으로 4~8월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②신형 자동차 출시에 따른 자동차 부품 수요 상승이 호재 요인으로 작용, ③최대시장인 미국과 중국 수출이 9월 대폭 증가하며 플러스로 전환, 3분기 수출 감소폭 완화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미국 339(△4.8), 중국 85(△24.9), 멕시코 73(△19.0), 일본 51(△38.1), 베트남 34(4.4)
 
ㅇ (반도체제조용장비: 7.4억 달러, 10.0%↑) ①비대면산업 확산에 따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계 활황으로, ②글로벌 기업의 반도체 투자 증설이 확대되며 중국·대만·미국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성장, ③6월부터 증가세를 유지하며 3분기 수출도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374(8.9), 대만 97(15.7), 미국 84(27.4), 일본 47(2.0), 싱가포르 43(28.6)
 
ㅇ (합성수지: 7.1억 달러, △4.8%) ①국제 유가 하락 및 글로벌 전방산업 생산 감소로 수출이 부진하였으나, ②주요국 제조업 경기 회복 및 포장재와 가전 수요증가로 중국·홍콩 등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며, ③9월 수출이 8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 3분기 감소폭 완화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263(4.8), 베트남 131(1.0), 미국 25(△5.0), 인도네시아 24(△20.0), 인도 21(△31.1)
 
ㅇ (계측제어분석기: 6.9억 달러, 20.9%↑) ①수출 최대국인 중국의 디스플레이 투자 확대로, ②5월부터 증가세를 유지하며 3분기 수출 큰폭으로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319(44.1), 베트남 72(2.3), 미국 54(23.8), 일본 43(△11.9), 홍콩 25(37.9)


 
ㅇ (기타정밀화학제품: 6.8억 달러, 311.3%↑) ①한국산 진단키트의 글로벌 수요 급증세가 지속되면서 ②미국, 인도, 이탈리아, 스페인 등 다수의 국가로 수출 확대, ③6개월 연속 세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3분기 수출을 견인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미국 84(2,067), 인도 81(675.3), 이탈리아 50(1,886), 스페인 49(2,257), 중국 37(△2.4)
 
ㅇ (기타기계류: 5.9억 달러, △19.3%) ①작년 해외 전기차 및 디스플레이 공장 증설효과 종료로 ②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③헝가리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증설로 수출이 급증하면서 9월 수출 감소폭 완화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198(△25.9), 베트남 64(△20.8), 미국 55(△10.5), 일본 46(△31.0), 헝가리 29(86.4)
 
ㅇ (철강판: 5.9억 달러, △2.3%) ①수출 최대시장인 중국에서 투자 및 생산이 활발해지며 수요 급증, ②9월 수출이 5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하면서 3분기 수출 감소폭 완화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65(85.0), 베트남 56(5.0), 태국 49(△18.6), 멕시코 44(△17.9), 러시아 35(23.2)
 
ㅇ (반도체: 5.8억 달러, 1.9%↑) ①비대면산업 활성화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로, ②중화권·태국·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9월 수출이 급증하면서 3분기 수출 소폭 증가
* 20.3분기 수출액/증감률(백만달러, %): 중국 177(3.8), 홍콩 155(11.0), 베트남 80(0.1),
대만 51(42.7), 태국 23(67.7), 말레이시아 7(97.7)
구 분 2020년 (단위: 백만 달러, %)
7월   8월   9월   3분기↓   1-9월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플라스틱 제품 463 △1.2 423 △2.7 497 17.0 1,382 4.1 3,795 △0.7
화장품 382 10.8 405 16.3 540 40.0 1,327 23.0 3,645 8.5
자동차부품 323 △25.5 274 △26.0 396 9.0 992 △14.9 2,676 △16.2
반도체제조용장비 265 4.1 250 20.0 228 7.1 742 10.0 2,299 10.3
합성수지 231 △14.0 216 △11.2 263 12.6 710 △4.8 2,007 △13.6
계측제어분석기 230 14.2 227 22.4 232 26.7 689 20.9 1,809 4.9
기타정밀화학제품 171 208.7 206 291.9 305 426.9 682 311.3 1,734 269.1
기타기계류 211 △17.1 179 △30.1 198 △9.1 588 △19.3 1,997 △8.7
철강판 192 △13.8 182 △6.7 213 16.4 587 △2.3 1,624 △15.3
반도체 188 △6.4 179 △0.1 218 12.4 585 1.9 1,618 △2.0
의약품 141 98.2 195 250.7 214 231.0 549 187.3 1,160 106.7
평판DP 제조용장비 208 83.0 135 164.5 197 128.8 540 115.3 1,315 12.6
기계요소 178 △12.1 151 △17.1 192 12.2 521 △6.2 1,542 △3.6
전자응용기기 172 8.9 148 △3.3 194 17.8 514 8.1 1,548 7.9
원동기및펌프 165 △5.1 128 △15.7 159 2.4 452 △6.0 1,371 △11.4
자동차 125 △35.2 137 △20.7 181 5.5 444 △17.6 1,186 △25.8
기구부품 150 21.6 133 10.7 156 40.4 439 23.8 1,152 8.7
기타섬유제품 119 40.3 108 47.8 208 182.7 436 87.9 1,124 63.3
문구 및 완구 135 △3.2 119 △6.5 152 18.0 406 2.6 1,116 △3.1
무선통신기기 137 3.8 108 △13.2 150 19.0 395 3.2 1,112 △1.0
20개 주요품목 4,188 2.2 3,902 5.9 4,891 31.9 12,981 13.0 35,831 3.4
합계 8,495 △3.7 7,617 △3.2 9,446 19.6 25,558 4.0 72,117 △2.9
별첨   중소기업 수출 통계표
 
<2020년 분기별 수출액 및 증감률>
  (단위: 억달러, %)
구 분 2019년 2020년
1분기 2분기 3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9월 누계
7월 8월 9월 3분기
중소 237
(△6.1)
260
(△4.6)
246
(△5.8)
241
(1.7)
225
(△13.6)
85
(△3.7)
76
(△3.2)
94
(19.6)
256
(4.0)
721
(△2.9)
총수출 1,327
(△8.5)
1,385
(△8.7)
1,347
(△12.3)
1,302
(△1.8)
1,104
(△20.3)
428
(△7.1)
395
(△10.2)
480
(7.6)
1,304
(△3.2)
3,710
(△8.6)
 
< 월별 수출실적 >
(단위: 백만 달러, 개수, %)
구분 중소기업 총수출
기업수 증감률 비중 수출액 증감률 비중 기업수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2017년 92,287 0.5 96.9 103,209 3.7 18.0 95,243 0.6 573,694 15.8
2018 9월 41,619 △7.2 94.6 8,126 △16.2 16.0 43,997 △6.6 50,650 △8.1
  10월 45,373 13.1 94.9 9,239 27.3 16.8 47,818 13.1 54,860 22.5
  11월 45,469 0.5 94.9 8,953 △4.4 17.4 47,910 0.9 51,480 3.6
  12월 43,469 △0.8 94.8 8,441 △11.5 17.5 45,840 △0.5 48,207 △1.7
2018년 94,162 2.0 96.7 105,196 1.9 17.4 97,394 2.3 604,860 5.4
2019 1월 43,204 1.0 94.6 8,218 △0.8 17.8 45,687 1.0 46,169 △6.2
  2월 39,919 1.0 94.1 6,995 △6.5 17.7 42,402 1.3 39,482 △11.3
  3월 43,899 △0.2 94.5 8,475 △10.5 18.0 46,431 △0.0 47,003 △8.4
  4월 44,575 2.0 94.6 8,932 △0.3 18.3 47,111 2.1 48,781 △2.1
  5월 44,952 1.4 94.7 9,035 △2.1 19.8 47,484 1.6 45,704 △9.8
  6월 43,263 △0.2 94.5 8,018 △11.4 18.2 45,786 0.1 44,008 △13.8
  7월 45,413 2.5 94.8 8,818 △3.3 19.1 47,926 2.5 46,078 △11.1
  8월 43,486 0.0 94.6 7,865 △11.0 17.9 45,963 0.2 44,020 △14.0
  9월 42,950 3.2 94.5 7,897 △2.8 17.7 45,438 3.3 44,629 △11.9
  10월 46,100 1.6 94.8 8,920 △3.5 19.1 48,635 1.7 46,649 △15.0
  11월 45,571 0.2 94.8 8,464 △5.5 19.2 48,091 0.4 44,041 △14.5
  12월 44,885 3.3 94.7 9,290 10.1 20.3 47,393 3.4 45,668 △5.3
2019년 95,229 1.1 96.6 100,928 △4.1 18.6 98,584 1.2 542,233 △10.4
2020 1월 41,406 △4.2 94.4 7,447 △9.4 17.3 43,870 △4.0 43,110 △6.6
  2월 43,351 8.6 94.6 7,849 12.2 19.2 45,834 8.1 40,919 3.6
  3월 44,460 1.3 94.7 8,806 3.9 19.1 46,947 1.1 46,206 △1.7
  4월 40,235 △9.7 94.3 7,699 △13.8 21.2 42,671 △9.4 36,299 △25.6
  5월 39,612 △11.9 94.3 6,923 △23.4 19.9 42,018 △11.5 34,843 △23.8
  6월 42,408 △2.0 94.5 7,835 △2.3 20.0 44,853 △2.0 39,225 △10.9
  7월 44,444 △2.1 94.8 8,495 △3.7 19.9 46,882 △2.2 42,793 △7.1
  8월 41,680 △4.2 94.5 7,617 △3.2 19.3 44,083 △4.1 39,534 △10.2
  9월 44,661 4.0 94.7 9,446 19.6 19.7 47,136 3.7 48,041 7.6
2020 1~9월 86,400 0.3 96.5 72,117 △2.9 19.4 89,553 0.2 370,969 △8.6
* 기업수, 수출액은 당월 기준 / 비중은 각 기간별 전체 대비 비중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