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 [고용노동부]

조회수 2571 | 등록일 2024-07-30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333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조선·반도체 ‘증가’, 섬유·건설 ‘감소’, 기계·전자·철강·자동차·디스플레이·금융 및 보험 ‘유지’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김영중)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의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대비 조선·반도체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며 섬유·건설 업종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전자·철강·자동차·디스플레이·금융 및 보험 업종은 전년 동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증가 업종에서 증가율로 보면 조선(6.3%), 반도체(1.8%) 순서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은 업종별 일자리 전망이다.

<1> 기계 : 주요국 인프라 투자와 에너지 및 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로 수출이 증가하지만 내수는 장기적 침체가 예상되어 기계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으로 유지 전망

○ 미국, 중동, 중남미 지역에서 인프라 투자 확대 및 제조업 중심의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어 일반기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러나 중국의 산업 고도화 정책에 따른 기계 자급률 상승,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엔저 장기화에 따른 수출 수요 감소 요인도 상존한다.

○ 2023년부터 이어진 기계산업의 내수 감소세는 점차 심화되어 2025년 상반기까지 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이 증가하지만 내수가 감소하면서 기계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3%(11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2> 조선 :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소폭 증가하는 가운데 친환경 선박 수요 및 수출 증가로 국내 조선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예상

○ 2024년 전 세계 선박 발주 전망은 4,310만 CGT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조선업계는 2024년 상반기에 글로벌 고부가가치 선박의 37.4%를 수주하여 우위를 지속하고 있다.

○ 국내 조선소 건조량은 2024년 상반기에 558.9만 CGT를 기록했으며, 가스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선을 중심으로 2024년에는 전년대비 20% 이상 건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선박류 수출액은 약 2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조선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6.3%(7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전자 : 글로벌 IT 제품 수요 증가, 주요 수출국 경기 및 단가 상승 영향으로 IT 수출 실적이 상반기 대비 개선되지만, 고용과 관계가 약하고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시차가 있어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스마트폰 시장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5G 스마트폰 전환, 온디바이스 AI등 신기술 혁신으로 2024년에 전년대비 3.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온디바이스 AI 랩탑 PC 등 신제품 출시로 AI PC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전자산업은 성장세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글로벌 IT제품 수요 증가와 시장이 안정화되어 2024년 하반기에는 2023년 하반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8%(6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4> 섬유 : 하반기에 의류 소비가 증가하고 국내 수요산업의 생산회복으로 산업용 섬유 소재 수요가 확대되지만 해외 생산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역수입이 증가하면서 섬유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

○ 미래유망 산업용 소재의 글로벌 수요 확대, 글로벌 브랜드의 소싱오더 회복 및 연말 쇼핑 시즌 등 상반기 부진을 상쇄하여 연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높은 물가상승률과 탄소중립으로 인한 산업환경 변화로 단순 노동력 수요가 많은 업종은 생산시설이 해외로 이전하는 등 기존 일자리 감소 요인이 상존한다.

○ 섬유 생산 소폭 감소 등의 영향으로 섬유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1%(3천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

<5> 철강 : 내수 수요 부진에도 신흥시장 수출 수요가 증가하고 탄소중립 그린스틸 투자 확대로 철강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

○ 하반기 토목 중심으로 일부 수요산업이 회복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상반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 등 신흥시장의 성장 및 미국 경기호조에 따른 투자확대, 하반기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이 전망되어 철강수요가 증가하여 수출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13.9백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내수부진에도 수출 증가로 철강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철강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5%(1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

<6> 반도체 :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로 인한 수요 개선과 AI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시장 호황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반도체 업종의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24년 반도체 수출은 2023년(986억 달러) 대비 약 36.9% 증가한 1,350억 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AI 수요와 메모리 가격 회복 등을 바탕으로 반도체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2024년 반도체 설비 투자는 업황 개선 등으로 인한 점진적 투자 확대가 기대되며 전년 대비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설비투자 지속에 따라 반도체 업종의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8%(3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

<7> 자동차 : 자동차 업종은 내수 시장이 소폭 축소되지만 글로벌 주요 시장의 수출 호조 기조가 지속되어 고용이 전년 하반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 경기 부진과 고금리 및 높은 가계부채 등의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신차 구매 의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가 지속되는 부정적 요인이 있지만, 북미 자동차 시장의 성장세와 신차 수출 효과로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가 예상된다.

○ 국내 수요위축에도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수출 수요 증가에 따라 2024년 하반기 자동차 업종의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6%(2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8> 디스플레이 : 글로벌 경기 회복, IT제품의 OLED 채용 확대, OLED TV 경쟁력 향상 등의 호조로 디스플레이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 유지 전망

○ 글로벌 경기회복, 파리 올림픽 개최, AI 적용 제품으로 교체 수요로 OLED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노트북 등 IT 제품의 OLED 탑재 확대, 자동차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 신시장 수요 창출로 디스플레이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 OLED TV 가격경쟁력 향상 및 OLED TV 출하량 목표 확대 등 OLED가 LCD를 대체하며 디스플레이 업종의 고용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7%(1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9> 건설 : 고금리 유지, 건설비 상승, 건설 투자 감소로 건설 수요가 위축되면서 건설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가 2023년 들어 큰 폭의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건설 공사비도 상승하여 실질 수주는 감소했으며, 2024년 정부 SOC예산은 2023년 대비 1.4조 원 증가했으나 건설비 상승 영향으로 실질 증가율은 크지 않다.

○ 2024년 하반기에도 고금리 유지, 부동산 PF 부실 우려, 민간 분양시장 위축 등의 영향으로 건설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전문직별 공사업 계약액은 증가하고 있으나 높아진 공사비를 고려하면 실질공사비는 감소했으며 경기실사지수(BSI)도 낮아 체감경기는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건설산업 수요와 건설 투자가 감소로 건설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7%(58천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

<10> 금융 및 보험 : 금리 상승이 유지되면서 수익성은 개선되지만 성장세가 약화되어 금융 및 보험업의 고용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022년 금리 상승으로 높아진 금리가 2024년에도 유지되어 은행업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2024년 하반기에도 은행권 가계 대출은 증가하지만 부동산 PF 부실로 인한 영향이 은행권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우려가 상존한다.

○ 고령화·저출산 등 인구구조 변화로 생명보험 산업은 신규 판매가 감소하고 보장성 보험에 대한 수요도 축소되면서 성장세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 손해보험 산업은 경제규모 증가에 따라 성장세가 이어 지지만 경기둔화로 인해 성장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 신용카드 산업은 금리 상승, 조달 비용 상승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증권 산업은 증권시장이 회복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 금융 및 보험업은 수익성이 개선되지만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전년 동기와 비슷한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4년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3%(3천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


문  의:  인력수급전망팀  정재현(043-870-8380)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