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실태조사 결과 공표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770 | 등록일 2024-04-03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23436&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3월 29일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를 공표했다.
 
“장애인기업실태조사”는 그동안 2년 주기로 작성·공표해 왔으나,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개정으로(‘22.10.18.공포, ’23.10.19.시행), 올해부터는 매년 작성·공표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 자료와 기업생멸행정통계의 장애인기업 자료 연계가 가능해짐에 따라, 보다 정확한 모집단 정보를 확보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실태조사 개요>  
   
* 국가승인통계번호 : 제142014호
· (법적근거)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제7조(실태조사 및 통계작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조사목적) 장애인기업 실태 및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장애인의 창업과 장애인기업 활동 종합대책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대상) 조사 기준일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장애인이 대표자로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기업 중 표본으로 선정된 5,000개 기업체
· (내용) 장애인기업 일반현황, 매출성과, 경영활동, 애로사항 등
· (방법) 조사원 현장조사 및 비대면(이메일, 팩스 등) 병행
· (기준) ‘22년 12월 31일 기준 / (조사기간) ’23년 9월 ~ 12월
 
① (일반현황) ’20년 대비 장애인 기업체 수 42.8% 증가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b4020a.bmp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6pixel, 세로 397pixel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수는 164,660개사(2020년 대비 42.8%↑)이며, 전체 장애인기업 중 90.3%(148,723개사)가 소상공인으로 나타났다.
 
* 장애인기업 수(개사) : (’18) 95,589 → (’20) 115,347 → (’22) 164,660
 
업종 비율은 도매 및 소매업이 29.7%(48,891개사)로 가장 많고, 제조업15.9%(26,104개사), 숙박 및 음식점업 15.1%(24,836개사) 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b40002.bmp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5pixel, 세로 483pixel
 
대표자 장애유형으로는 지체장애가 66.8%(110,008명),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경증, 4~6급)가 81.3%(133,833명)로 조사되었다.
 
대표자 평균 연령은 61.3세로 60대가 37.1%(61,071명)로 가장 높았고, 성별은 남성이 78.3%(128,994명), 여성이 21.7%(35,666명)로 나타났다.
 
② (재무현황) ‘20년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증가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1ac0002.bmp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7pixel, 세로 353pixel
매출액 영업이익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1280008.wmf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0pixel, 세로 232pixel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1280009.wmf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0pixel, 세로 232pixel
 
2022년 기준 매출총액은 75조 1,368억원(60.1%↑), 영업이익은 7조 6,212억원(80.0%↑)으로 ’20년 대비 모두 증가하였으며, 평균 매출액은 4억 5,631만원, 평균 영업이익은 4,628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b40003.bmp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1pixel, 세로 307pixel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b40004.bmp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9pixel, 세로 302pixel
 
기업 규모별 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소상공인 290백만원, 중소기업이 2,008백만원으로 ‘20년 대비 소상공인은 증가(12.0%↑) 하였고, 중소기업은 감소(10.5%↓)하였다.
 
업종별 매출액은 제조업이 22조 2,545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30%를 차지했고, 도매 및 소매업 21조원, 건설업 14조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③ (고용현황) 전체 종사자 중 장애인 종사자 비율 32.2%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KDN_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v2)_240304_3.jpg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22pixel, 세로 14032pixel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8c40016.wmf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4pixel, 세로 230pixel
 
전체 종사자 수는 544,840명(’20년 대비 35.5%↑)이며, 이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175,581명(‘20년 대비 45.5%↑)으로 전체 종사자의 32.2%를 차지하였다.
 
평균 종사자 수는 3.3명(’20년 3.6명)이고, 이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1.1명(‘20년 1.1명)으로 ’20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KDN_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v2)_240304_3.jpg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22pixel, 세로 14032pixel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KDN_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v2)_240304_3.jpg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22pixel, 세로 14032pixel
 
기업 규모별 장애인 종사자는 중소기업 13.5%(23,701명)보다 소상공인 86.5%(151,879명, ‘20년 대비 3.5%p↓)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 장애인 종사자 비율을 살펴보면, 도매 및 소매업 29.5%(51,846명, ‘20년 대비 0.3%p↑), 제조업 16.3%(28,636명, ‘20년 대비 2.3%p↓), 숙박 및 음식점업 14.2%(24,954명, ‘20년 대비 5.0%p↓)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④ (경영활동) 지속되는 고금리, 자금조달 애로사항 1위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KDN_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v2)_240304_4.jpg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22pixel, 세로 14032pixel
 
장애인기업 경영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자금조달(51.9%), 판로확보·홍보(마케팅)(39.8%), 인력확보·관리(28.7%) 순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기업의 2022년 자금사정 역시 2.14점으로 나쁨 수준(‘20년 2.01점)으로 조사되었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분야로는 운전자금(77.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서 인건비(12.8%), 시설자금(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⑤ (정책활용)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 도움 정도 ‘높은 수준’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별 인지 및 이용 여부 (단위 : %)
※ 각 정책별로 ‘알고 있음’, 이용경험이 ‘있음’으로 응답한 비율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8c40052.wmf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2pixel, 세로 243pixel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별 인지율은 창업지원이 89.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공공구매촉진(59.3%), 기술사업화 지원(47.8%), 수출역량 강화(45.4%)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별 이용률 역시 창업지원 (24.5%), 공공구매촉진(10.4%), 기술사업화 지원(3.7%), 수출역량 강화(1.7%) 순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 도움 정도 (단위 : %, 점/5점)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8c40054.wmf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7pixel, 세로 217pixel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의 정책별 도움 정도(5점 만점)로는 기술사업화 지원이 4.5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공공구매 촉진(4.28점), 창업지원(4.27점), 수출역량 강화(4.09점)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⑥ (희망정책) 장애인기업이 가장 필요로 한 지원은‘금융 지원’
그림입니다.
&#xA;원본 그림의 이름: KDN_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v2)_240304_4.jpg
&#xA;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22pixel, 세로 14032pixel
장애인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금융지원제도(74.7%)가 가장 높았고, 이어서 세제지원제도(49.0%), 판로지원제도(2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장애인기업실태조사는 장애인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인기업육성 기본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라며, “24년부터는 장애인기업실태조사가 매년 실시됨에 따라, 변화되는 경영환경을 반영한 적시성 있는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장애인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 본 통계 이용시 유의사항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부터는 『기업통계등록부』 자료를 기준으로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계』를 연계하여 조사모집단을 작성함에 따라 표본설계 및 모수추정 방법이 변경되었으므로 과거 조사결과 비교 등 자료 활용에 유의해야 함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