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고용노동부]

조회수 63 | 등록일 2024-05-3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338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Ⅰ.고용부문 (잠정결과)

1. 종사자(’24.4월 말)

□ (총괄) ’24.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20,106천명으로 전년동월(19,907천명)대비 198천명(+1.0%)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대비 89천명(+0.5%)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89천명(+4.7%) 증가, 기타종사자는 20천명(+1.6%)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은 16,729천명으로 161천명(+1.0%) 증가, 300인 이상은 3,377천명으로 37천명(+1.1%) 증가
ㅇ (산업별)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8천명, +3.9%), 건설업(+27천명, +1.9%),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7천명, +2.1%) 순
-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9천명, -1.6%), 교육서비스업(-16천명, -1.0%),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2천명, -0.4%) 순
-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8천명 증가

2. 입·이직자(’24.4월 중)

□ (총괄) ’24.4월 중 입직자는 95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천명(-1.9%) 감소, 이직자는 898천명으로 33천명(-3.5%) 감소
ㅇ (입·이직률) ’24.4월 입직률은 5.1%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이직률은 4.8%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85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천명(-2.3%) 감소, 이직자는 805천명으로 32천명(-3.8%) 감소
-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는 103천명으로 2천명(+1.5%) 증가, 이직자는 93천명으로 1천명(-1.1%) 감소

□ (입·이직 사유별) 입직 중 채용은 90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천명(-0.5%) 감소, 기타 입직은 48천명으로 13천명(-22.0%) 감소
ㅇ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30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명(-2.8%) 감소, 비자발적 이직은 528천명으로 17천명(-3.1%) 감소, 기타 이직은 61천명으로 7천명(-10.8%) 감소
ㅇ (채용) 채용(906천명) 중 상용직은 359천명으로 2천명(+0.5%) 증가, 임시일용직은 547천명으로 6천명(-1.2%) 감소
-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5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5천명) 순
ㅇ (자발적 이직) 자발적 이직(309천명) 중 상용직은 263천명으로 14천명(-5.2%) 감소, 임시일용직은 46천명으로 6천명(+13.7%) 증가
- 증가한 산업은 부동산업(+2천명), 도매 및 소매업(+2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제조업(-6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천명) 순
ㅇ (비자발적 이직) 비자발적 이직(528천명) 중 상용직은 68천명으로 7천명(-9.6%) 감소, 임시일용직은 460천명으로 10천명(-2.0%)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0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5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18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천명) 순

3. 시도별 고용부문

□ 종사자(’24.4월 말)
ㅇ ’24.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86천명), 경남(+27천명) 등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
ㅇ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4.7%), 경남(+2.4%), 충남(+2.0%) 순,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0.3%), 경북(-0.1%) 순

□ 입·이직자(’24.4월 중)
ㅇ (입·이직자) ’24.4월 중 입·이직자는 경기(입직 237천명, 이직 227천명), 서울(입직 201천명, 이직 183천명), 경북(입직 53천명, 이직 50천명) 순으로 많음
- 입직자는 전년동월대비 서울(+8천명), 대구(+6천명) 등에서 증가, 경기(-12천명), 경북(-7천명) 등에서 감소
- 이직자는 대구(+5천명), 울산(+3천명) 등에서 증가, 서울(-11천명), 경북(-8천명)에서 감소
ㅇ (입·이직률) ’24.4월 중 입·이직률은 전남(입직률 7.3%, 이직률 8.0%), 전북(입직률 7.0%, 이직률 6.9%), 대구(입직률 6.6%, 이직률 6.2%) 순으로 높음

Ⅱ. 근로실태부문

1. 임금(’24.3월 기준)

□ (총괄) ’24.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010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9%(+113천원)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255천원으로 3.0%(+125천원)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848천원으로 4.5%(+80천원) 증가
-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534천원으로 3.2%(+109천원) 증가, 초과급여는 236천원으로 8.6%(+19천원) 증가, 특별급여는 485천원으로 0.6%(-3천원) 감소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582천원으로 3.1%(+107천원) 증가, 300인 이상은 6,111천원으로 2.5%(+148천원) 증가
ㅇ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9,947천원), 금융 및 보험업(7,545천원) 순,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088천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732천원) 순

2. 근로시간(’24.3월 기준)

□ (총괄) ’24.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3.9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2.2시간(-7.3%) 감소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61.4시간으로 12.5시간(-7.2%)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87.1시간으로 7.5시간(-7.9%) 감소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2.9시간으로 12.5시간(-7.6%)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58.6시간으로 10.7시간(-6.3%) 감소
ㅇ (산업별)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제조업(169.5시간), 광업(168.9시간) 순, 짧은 산업은 건설업(128.0시간), 교육서비스업(133.3시간) 순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전은이(044-202-7249)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