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스타트업 집중 육성, 예비·초기창업패키지 추가 모집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6050 | 등록일 2020-07-2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1741&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원을 위해 3차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에 반영된 예비창업패키지 사업(378억원)과 초기창업패키지 사업(70억원)에 추가로 참여할 기업을 7월 22일(수)부터 8월 10일(월)*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 (초기) 7월 22일(수) ~ 8월 7일(금), (예비) 7월 22일(수) ~ 8월 10일(월)
이번 추경예산 반영은 코로나19로 인해 자금 확보가 어려운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한편, 비대면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과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스타트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교육·마케팅·사업화 자금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예비창업창업패키지 사업의 지원대상은 예비창업자이고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의 지원대상은 창업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초기창업기업이다.
두 사업 모두 1년간 최대 1억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이번에 추경에 따른 추가 지원은 기존과 달라진 점은 지원분야 제한과 운영체계 개편, 청년창업자 선발 확대다.
기존에는 지원분야 제한이 없이 기술창업인 경우 모두 지원이 가능했으나 이번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비대면 분야로 제한할 계획이다.
비대면 분야는 크게 ①의료, ②교육, ③소비·물류, ④오피스, ⑤엑티비티, ⑥지역콘텐츠, ⑦비대면 기반기술 분야 7개로 나뉘고, 7개 분야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스타트업이 비대면 유망 창업아이템이 있는 경우 제안할 수 있도록 ⑧유레카 분야도 구분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이러한 비대면 분야 지원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운영체계를 일부 개편해 비대면 세부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관련 부처와 협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관련 부처가 추천하는 유관기관이 사업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관련 부처의 비대면 세부분야 정책방향을 기반으로 해당분야 스타트업을 평가해 선정하고 기술 컨설팅 등도 지원한다.
다만, 부처 추천 유관기관의 인력 현황 등 여력을 고려해 전체 예산 중 일부(예비창업패키지 378억원 중 30억원, 초기창업패키지 70억원 전체)만 유관기관이 담당하고, 나머지(예비창업패키지 348억원)는 기존에 선정됐던 주관기관(대학 등)이 담당한다.
중기부는 이번 부처 협업체계를 올해 시범으로 운영한 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예비창업패키지사업은 만 39세 이하의 청년 지원 비율을 확대한다. 예비창업패키지사업에 대한 이번 국회 추경심사과정에서 청년지원강화 필요성이 제기됐고, 그 명목으로 예산도 일부 증액이 됐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를 반영하여 예비창업패키지사업의 청년지원 비율을 기존 60%에서 70%로 확대할 계획이다.
<주요 비대면 분야별 전문기관 및 주요지원 내용>
사업구분
분야
전문 주관기관
전문기관
추천부처
주요 지원 내용
초기창업
의료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식약처
모바일 헬스케어 등 의료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지원
교육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에듀테크 표준, 교육저작권 등 컨설팅 및 교육현장 시범적용 지원
소비·물류
한국교통연구원
국토부
스마트 물류 시스템 컨설팅, 우수 물류기업 인증 등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식품부
온라인 식품 유통 관련 기술평가 및 후속 투자 유치 지원 등
지역
콘텐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과기부
스마트 미디어 인프라 및 서비스 개발 컨설팅 등
예비창업
의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부
치료제, 방역물품 등에 대한 기술 컨설팅 및 IR 지원
교육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에듀테크 표준, 교육저작권 등 컨설팅 및 교육현장 시범적용 지원
기반기술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청
지식재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설계 지원

사업 신청 접수는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7월 22일(수)부터 8월 7일(금),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은 7월 22일(수)부터 8월 10일(월)까지, 마감일 18시까지 K-Startup 누리집(www.k-startup.go.kr)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각 주관기관 별로 서면평가와 발표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9월 중에 지원대상을 최종 선발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K-Startup 누리집(www.k-startup.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원미연 사무관(☎042-481-3991, 이윤호 사무관(☎042-481-891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예비·초기창업패키지 사업개요

□ 사업개요 : 예비(창업이전), 초기(3년이내) 등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창업을 활성화
□ 지원규모 : 예비창업자 600명, 초기창업기업 100개사 내외

□ 지원대상 : 예비창업자(예비창업패키지), 창업 3년 이내 기업(초기창업패키지)
□ 지원내용
 < 예비창업패키지 > 
   - 창업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예비창업자당 최대 1억원 한도 지원
   - 전담멘토를 매칭하여 바우처 관리 및 경영·자문 서비스 제공
   - 예비창업자 창업교육(40시간) 프로그램 제공
 < 초기창업패키지 > 
   - 시제품 제작, 초기 판로 구축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 지원(최대 1억원)
   - 초기창업기업의 투자유치, 판로개척, 기술확보 및 보호 등 기업의 성장지원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 제공
□ 추진일정(안)

모집 공고

신청접수

서면평가
중소벤처기업부
K-Startup
주관기관
’20.7.17.(금)
’20.7.22.(수)~8.7.(금)
’20.8월 중
 


협약체결

지원대상 선정 공지

발표평가
창업진흥원-주관기관-창업자
창업진흥원
주관기관
~’20.9월말
’20.9월중
~’20.9월 초

참고2
 비대면 전략분야 및 주관기관 유형별 운영계획

비대면 전략 분야
 ㅇ 비대면 창업아이템을 8대 분야(의료, 교육, 소비·물류, 엑티비티, 오피스, 지역컨텐츠, 기반기술, 유레카)로 체계화하고, 세부분야 설정
<비대면 8대 20개 세부분야>
대분야
세부분야
의료
①체외진단 의료기기(진단키트, 디지털 헬스 등)
②방역물품, ③치료제
교육
④ 온라인 교육 컨텐츠, ⑤ 온라인 교육 시스템
소비·물류
⑥신선식품 온라인 판매, ⑧생활·스마트물류, ⑦스마트 계약·결제
⑨온라인쇼핑, 생활중개(돌봄서비스)
액티비티
⑩홈 트레이닝 ⑪엔터테인먼트 ⑫실내 생활서비스
오피스
⑬화상회의/원격근무, ⑭온라인 고객 응대
지역 콘텐츠
⑮온라인 융합형 지역 콘텐츠 제공
기반기술
? 데이터분석(AI,빅데이터, 지능형 반도체, 로봇), ? 통신(5G, 클라우드, IoT), ?체험기술(AR·VR·홀로그램·체험 기자재), ? 보안기술(보안 솔루션, 블록체인)
유레카
? 새로운 언택트 기술·제품·서비스 모델

사업별 주관기관 유형별 운영계획
 ㅇ (부처협업형 전문기관) 의료, 교육, 소비물류, 지역컨텐츠, 기반기술 등 분야별로 전문 주관기관 7개 운영
 ㅇ (일반 주관기관) 창조경제혁신센터, 공공기관 등 예비창업패키지 주관기관 37개 운영
사업명
예산(억원)
선발 규모
구 분
예비창업패키지
348
560개사
“일반형”
30
40명
“부처협업형”
초기창업패키지
70
100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