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창원대,‘혁신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의 산실’로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208 | 등록일 2022-06-10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1097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교육부(교육부 차관 장상윤)는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를 2022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의 신규 사업지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은 대학의 유휴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고 산학연 혁신허브(기업입주공간)를 마련하는 등 정부의 산학연 협력 및 기업역량 강화 사업 등을 집중하여, 대학을 지역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3개 부처(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교육부) 공동사업이다.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방안? 발표(2019년) 후 1, 2차 공모를 통해 5개 대학(강원대, 한남대, 한양대 ERICA캠퍼스, 경북대, 전남대)을 선정했으며, 사업별로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 등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기존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따라 사업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올해 신규로 2개 대학을 추가 선정하기 위한 공모를 진행했다.
 
이번 공모는 지난 2019년도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하는 것으로, 총 17개 대학이 제안서를 제출하여 8.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3개 부처는 산업입지, 산학협력, 창업 및 기업육성 분야 등 전문가 9명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공모지침의 평가절차 및 기준*에 따라 서면평가(5.18일), 현장실사(5.25일, 5.27일), 발표평가(6.8일)를 거쳐 최종 2개 대학을 선정했다.
 
*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 대학 역량 및 의지, 기업 유치 가능성 등
 
최종 선정된 2개 대학은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과 산학협력 역량이 우수하고, 기업유치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사업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전북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추진계획(안) >
? (위치)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덕진동 1가 664-14, 664-52~54번지
 
? (규모) 사업부지 36,580㎡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300㎡
 
?(사업기간) ’22∼’30
*1단계 ’22-’25, 2단계 ’25-’30
 
? (사업비) 1단계 510억원(총 1,110억원)
 
? (주요업종) 문화콘텐츠, ICT, 바이오 융복합 등
   
< 창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추진계획(안) >
?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 (규모) 사업부지 18,000㎡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490㎡
 
?(사업기간) ’22∼’30
*1단계 ’22-’25, 2단계 ’26-’30
 
? (사업비) 총 504억원
 
? (주요업종) 스마트 제조, 탄소중립, 지능형방위?항공
 
이번에 선정된 사업지는 즉시 산업단지 계획 수립에 착수해 내년 하반기에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하는 등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2개 대학은 기존 사업과 함께 지역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혁신 거점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한다”며,
 
“캠퍼스 혁신파크가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열풍을 지역에 계속 확산해 나갈 수 있도록 규제혁신과 다양한 지원 사업 연계 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 보도참고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생태계조성과 최용춘 사무관(☎ 044-204-7673),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과 이종찬 서기관(☎ 044-201-3663), 교육부 산학협력일자리정책과 박수민 사무관(☎ 044-203-694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2022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지 개요
1. 전북대학교 제안사업 주요 내용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전북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ㅇ (위 치)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664-14, 664-52~54번지
 
ㅇ (사업규모) 사업부지 36,580㎡(1단계 25,516, 2~3단계 11,064㎡) /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300㎡(신축)
 
ㅇ (기간/예산) ’22∼’30(1단계 ’22∼’25, 2~3단계 ’25∼’30) / 510억원(총1,110억원)
 
□ 추진계획 사업계획은 산업단지계획 수립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전북대 캠퍼스 혁신파크 계획 ] [ 전북대 캠퍼스 혁신파크 조감도 ]
 
ㅇ(1단계, ’22∼’25) 산학연 혁신허브 신축(부지 2.5㎡)
 
* 문화콘텐츠, ICT, 바이오융복합 분야 기업 유치
 
ㅇ (2단계, ’25~’27) R&D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거점 조성(부지 0.4㎡)
 
ㅇ (3단계, ’28~’30) ECO 복합단지(교육?문화?복지시설 집적화) 조성(부지 0.7㎡)
 
□ 주변여건
 
ㅇ (정주여건) 전주 중심부로 캠퍼스 인근에 주거 시설(아파트 등) 및 각종 편의시설(대형마트, 백화점, 학교, 병원 등) 입지로 정주여건 우수
 
ㅇ (교통여건) 2㎞ 이내 전주역, 고속?시외버스터미널 인접
2. 창원대학교 제안사업 주요 내용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창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ㅇ (위 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ㅇ (사업규모) 사업부지 18,000 /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490㎡(신축)
 
ㅇ (기간/예산) ’22∼’30(1단계 ’22∼’25, 2~3단계 ’26∼’30) / 504억원
 
□ 추진계획 사업계획은 산업단지계획 수립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창원대 캠퍼스 혁신파크 계획 ] [ 창원대 캠퍼스 혁신파크 조감도 ]
 
ㅇ(1단계, ’22∼’25) 산학연 혁신허브 신축(부지 1.8만㎡)
 
* 스마트 제조, 탄소중립, 지능형방위?항공 분야 기업 유치
 
ㅇ (2단계, ’26~’28) 기업창업과 성장?재도전 전주기적 패키지 지원 체계 구축(인력양성과정 개설, 창업기업역량강화, 스케일업 프로그램 운영 등)
 
ㅇ (3단계, ’29~’30) 운영자립화 체계 구축(기술지주회사 역량 강화 등)
 
□ 주변여건
 
ㅇ (정주여건) 창원 중심부로 캠퍼스 인근에 주거 시설(오피스텔 등) 및 각종 편의시설(학교, 병원, 극장, 백화점 등)이 입지하여 정주여건 우수
 
ㅇ (교통여건) 도보로 창원중앙역(KTX) 5분, 차량으로 창원종합터미널 10분
참고 2   캠퍼스 혁신파크 1?2차 선정대학 추진 현황
□ 1차(’19년 선정) 3개 선도대학(강원대, 한남대, 한양대 에리카)
【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
? (위치)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192-1 강원대학교 내 일원
? (규모) 단지면적 66,500㎡, 산학연 혁신허브 22,300㎡(연면적)
? (기간) ’20 ∼ ’26년 / ? (사업비) 504억 원(국비 190.5억 원)
? (유치업종) 데이터, 바이오, 정밀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에너지 신산업 등 기업지원공간,
연구개발(R&D)센터 조성, 사회·문화·생활혁신센터 추가 조성 등
? (현황 및 계획)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21.1.) → 산학연혁신허브 착공(’22.1.) → 산학연혁신허브 기공식(’22.3.) →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22.하반기) → 산학연혁신허브 완공(’24.상반기)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공사 현장 산학연 혁신허브 조감도
【 한남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
? (위치)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133일원
? (규모) 단지면적 30,453㎡, 산학연 혁신허브 22,300㎡(연면적)
? (기간) ’20 ∼ ’25년 / ? (사업비) 504억 원(국비 190.5억 원)
? (유치업종) 기계·금속, 바이오·화학, 지식서비스, ICT 기업·지원기관 유치, 설계/엔지니어링 지원 확대
? (현황 및 계획)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20.10.) → 산업단지 기반공사 착공(’21.11.) →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22.4.) → 산학연혁신허브 착공(’22.6. 예정) → 산학연혁신허브 완공(’24.하반기)
※ 대전시 : 캠퍼스 혁신파크를 위한 ‘외국인투자유치 프로젝트 상품화지원사업’ 수행 중(’21.7.~현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공사 현장 산학연 혁신허브 조감도
【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혁신파크 】
? (위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1271 일원
? (규모) 단지면적 78,579㎡, 산학연 혁신허브 22,300㎡(연면적)
? (기간) ’20 ∼ ’25년 / ? (사업비) 504억원(국비: 95.2억원)
? (유치업종) IT연계 창업기업, 첨단부품소재·스마트제조 혁신기업 공간조성, BT·CT창업, BIO·의료기업 유치
? (현황 및 계획)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20.10.) → 산업단지 기반공사 착공(’21.3.) → 산학연 혁신허브 착공(’22.1.) →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22.12.) → 산학연 혁신허브 완공(’24.하반기)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공사 현장 산학연 혁신허브 조감도
□ 2차(’21년 선정) 2개 대학(경북대, 전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조감도 주요내용

< 경북대학교 >
위 치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사업규모 사업부지 32,000㎡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000㎡
사업기간 2021∼2026년
* 1단계 ’21~’24년, 2단계 ’25~’30년
총사업비 517억원(국비: 190.5억원)
유치업종 의료기기, 의약품 제조 등 첨단 제조산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등 첨단 연구산업
추진현황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절차 진행 중
(’22.9. 도첨단지 지정 예정)

< 전남대학교 >
위 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사업규모 사업부지 35,609㎡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350㎡
사업기간 2021∼2030년
* 1단계 ’21~’25년, 2단계 ’23~’27년,
3단계 ’27~’30년
총사업비 530억원(국비: 190.5억원)
유치업종 정보기술(IT)·환경공학기술(ET)·생명공학기술(BT)·문화콘텐츠기술(CT) 등 첨단산업
추진현황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절차 진행 중
(’22.9. 도첨단지 지정 예정)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