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과기정통부,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R&D) 2,418억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2128 | 등록일 2022-06-01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09695&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2년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지원 대상으로 71개 기업·기관(중기부 49개, 과기정통부 22개)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지능형(스마트) 제조혁신 가속화를 위해 중기부와 과기정통부 협업으로 자료(데이터)·연결망(네트워크)·인공지능(D·N·A) 기반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공급기술 고도화를 추진하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으로,
 
5년간 첨단제조, 유연생산, 현장적용 분야 등 지능형(스마트) 제조혁신 3대 분야를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기업·기관은 첨단제조 분야 33개, 유연생산 분야 38개 등 총 71개로,
 
2022년 국비 646억원, 2025년까지 총 2,418억원을 지원하고, 2023년 이후에는 현장적용 분야 등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3,1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대·중소기업간 자료(데이터)를 공유하는 가치사슬 연계형 기술개발과 수요 맞춤형 제품생산을 위해 제조자원을 탄력적으로 구성하는 기술개발 등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제5세대 통신(5G), 인공지능·자료(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 융합을 통한 제조 자원(제조장비·로봇 등)의 디지털화·지능화 및 제조 서비스 고도화 등 제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첨단제조·유연생산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특히, 이번 기술개발 사업은 수요기업(대·중견·중소기업 등)의 참여를 통해, 개발된 성과물을 현장에 실증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기부와 과기정통부는 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을 위해 공동으로 과제기획과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효과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효율적인 과제 관리를 위해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추진하고 있다.
 
중기부 이현조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은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기술 역량이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의 고도화와 직결되는 만큼 이번 지능형(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공급기술이 다양화·고도화·첨단화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지능형(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5세대 통신(5G), 인공지능 등의 디지털 기술이 제조 현장에 적용되어 다품종 개인 맞춤형 제품의 설계·생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현장에 혁신을 불어넣는 신시장 창출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지원과 김연호 사무관(☎ 044-204-7262)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디바이스전략팀 김광년 사무관(☎ 044-202-6252)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개요
 
□ (사업목적) D.N.A.(Data, Network, AI) 기술 기반의 스마트 제조혁신 가속화·고도화와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경쟁력 제고
 
□ (지원규모) ‘22~’26년, 국비 총 3,160억원(중기부 1,839억원, 과기정통부 1,321억원/국비기준)
 
* (‘22년) 중기부 330.6억원, 과기부 315.7억원 등 646.3억원
 
□ (지원대상) 수요-공급 컨소시엄(산·학·연 등)
 
□ (지원현황) 총 71개
 
 
부처명 지원 분야 지원 기간 지원과제수 지원금액
(지원비율)
선정방식
중소벤처
기업부
첨단제조, 유연생산 최대4년
(‘22~’25)
49개
(첨단제조 25, 유연생산 24)
평균 26억원
(75% 이내)
품목지정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첨단제조, 유연생산 최대4년
(‘22~’25)
22개
(첨단제조 8, 유연생산 14)
평균 53억원
(100% 이내)
지정공모
품목지정
 
□ (지원내용) ?첨단제조, ?유연생산, ?현장적용기술 등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분야별 연계·구성을 통해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공급기술 고도화 실현
 
 
구 분 사업 목적 및 내용
1. 첨단제조 대·중소기업 간 데이터와 기술을 공유하는 “한국형 미래/첨단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모델”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
2. 유연생산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제품 생산을 위해 공장內 제조자원을 탄력적으로 구성하는 유연생산기술 확보
3. 현장적용 제조현장 노하우의 디지털 전환 및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공정전문가를 활용한 현장적용기술 개발
* 현장적용기술 분야는 ’24년부터 추진 예정(중기부)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