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만1,700명 인건비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3829 | 등록일 2020-08-04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4135&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고용노동부와 협업해 지난 7월 30일부터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청년 일 경험 지원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청년층 고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통해 총 1만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두 사업은 청년에게는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해 정보기술(IT)분야 실무경험을 쌓아 관련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중소기업에는 일하고 싶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한 기업에 대해 월 최대 180만원의 인건비와 간접노무비 10만원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한다.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은 청년에게 일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업에 대해 월 최대 80만원의 인건비와 관리비를 8만원 한도 내에서 6개월까지 지원한다.
 
사업별 상세내용은 워크넷 누리집 (www.work.go.kr/youthjob)과 운영기관별 사업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
공통 • 만 15~34세 청년 신규채용, 최저임금 이상 지급, 4대 보험 가입
지원
내용
월 보수 총액 인건비 간접노무비
200만원 이상 180만원 10만원
200만원 미만 지급 임금의
90%
10만원
근로시간(주당) 인건비 관리비
30 시간 이상 80만원 8만원
20 시간 이상 60만원 6만원
15 시간 이상 40만원 4만원
직무 •I유형(콘텐츠 기획형): 홈페이지 기획·관리, 유튜브, SNS 등 온라인 콘텐츠 관리
•II유형(빅데이터 활용형): 앱 개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
•III유형(기록물 정보화형): 기업 내 아날로그 문서, 기록물의 전산화 및 DB화 등
•IV유형(기타): 각 기업별 특화된 IT분야 직무
• 직무제한 없음
• 대학생 채용 가능
조건 • 3개월 이상의 근로계약 체결
(정규직 채용도 가능)
• 2개월 이상의 기간제 근로계약 체결
• 멘토지정, 자체 업무지도 및 교육
 
이 두 사업을 통해 중기부는 청년을 신규로 채용하는 5인 이상 중소기업 중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마트 서비스 등 분야의 기업, 창업·벤처기업, 이노비즈 기업,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등을 특화분야로서 중점 지원한다.
 
* 5인 미만 기업은 벤처기업, 청년창업기업,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관련 업종, 성장유망업종 등에 해당하면 참여할 수 있다.
 
중기부가 추천한 특화분야 운영기관은 창업진흥원, 벤처기업협회, 지능정보산업협회 등 총 10개 기관으로 13개 분야(붙임자료 참조)에 총 11,700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할 계획으로 이는 부처별 특화분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 11개 부처, 43개 특화분야·25,152명 중 중기부는 13개 특화분야·11,700명 지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워크넷 누리집(www.work.go.kr/youthjob)에서 특화분야 운영기관을 지정하여 신청해야 하며, 운영기관은 신청기업의 자격을 심사해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의 특화분야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은 우선 해당 특화분야 운영기관에 문의하여 관련 내용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다.
 
중기부 최원영 일자리정책과장은 “최근 취업절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데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유망 기술 분야의 벤처·스타트업과 제조 중소기업 등이 청년 채용 여력을 확보해 디지털 전환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관련 직무에 적합한 청년 채용을 위한 기업의 구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청년들도 구인 사이트 등 기업의 채용정보를 관심있게 찾아볼 것을 권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일자리정책과 황선희 사무관(☎042-481-166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중기부 특화분야 및 운영기관 현황
 
  특화분야 (지원대상) 운영기관 연락처 인원(명)
청년 디지털일자리 ?AI 학습용 데이터 및 서비스·인프라
구축 지원(AI 공급기업 및 수요기업)
지능정보산업협회 02-6265-8752 1,000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수
(소프트웨어 중소기업)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055-751-9878 1,000
? 중소기업 스마트 서비스화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 참여기업 등)
한국경영혁신
중소기업협회
02-2230-2120 1,000
? 스마트공장 사후관리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중소기업기술
정보진흥원
042-388-0878 500
? 벤처기업 디지털 업무 지원(벤처기업) 벤처기업협회 02-6331-7168 2,000
? 이노비즈 기업 디지털 업무 지원
(이노비즈 기업)
중소기업기술
혁신협회
031-628-9660 2,000
?신산업 스타트업 디지털 업무 지원
(창업기업)
창업진흥원 042-480-4452 1,000
?D.N.A. 스타트업 디지털 업무 지원
(창업기업)
코리아스타트업
포럼
02-6211-9400 1,000
?중소기업 디지털화 촉진 지원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온라인 교육기업 등)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055-751-9878 1,000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업무 지원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
한국바이오협회 031-628-0024 300
반도체 분야 디지털 업무 지원
(반도체 분야 기업)
벤처기업협회 02-6331-7166 500
소셜벤처 청년 디지털 일자리 지원
(소셜벤처기업)
한국청년기업가
정신재단
02-2156-2357 250
청년일경험지원 소셜벤처 청년인턴
(소셜벤처기업)
한국청년기업가
정신재단
02-2156-2357 150
합 계 11,700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