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인 혁신성장 거점, ‘특화지원센터’ 5곳 신규 선정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3562 | 등록일 2020-08-04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4266&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집적지 내 소공인의 협업과 디지털화 촉진 등 혁신성장을 지원할 ‘소공인특화지원센터’의 운영기관 5곳을 신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운영기관은 서울광진의류협회(서울 광진),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대구 북구), 경기대진테크노파크(경기 포천), 안양창조산업진흥원(경기 안양),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전남 무안) 등 5곳이다.
 
신규로 선정된 특화지원센터는 집적지 내 소공인의 디지털역량·기술·경영 교육, 컨설팅, 업종 특화지원사업 등 지역과 업종별로 다양한 소공인 지원사업을 운영하게 된다.
 
선정된 소공인특화지원센터의 주요 사업계획은 다음과 같다.
 
서울광진의류협회(서울 광진구)는 의류봉제업체(400개사)가 밀집된 곳에서 디자이너와 소공인 간 협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 일감의 공동 수·발주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등을 지원한다.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대구 북구)은 안경산업특구지역 내 소공인(227개사)에게 안경 제조 산업 트렌드 등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공하고, 소공인 지원 전담제도* 운영 등 집적지 소공인과 긴밀한 소통체계를 구축한다.
 
* 운영기관 직원 1인당 소공인 8개사 이상 전담해 밀착 관리
 
경기대진테크노파크(경기 포천)는 집적지 내 가구 소공인(146개사)에게 스마트 스토어 등 온라인 오픈마켓을 활용한 마케팅 기법 교육과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교육 등 제조환경의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대비한다.
 
안양창조산업진흥원(경기 안양)은 집적지 내 전자부품제조 소공인(115개사)의 정보 통합 검색 포털사이트를 구축해 공용장비와 시설 이용 등을 지원하여 소공인의 혁신성장을 촉진한다.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전남 무안)은 전남 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되는 특화지원센터로, 우리나라 3대 도자기 발상지인 전남 무안의 도예 소공인 육성을 위하여 도자 전시·상담실, 시험장비 등 공용시설과 3D 프린터 활용 등을 지원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공인 집적지 활성화와 역량 강화를 위하여 2013년부터 특화지원센터를 설치해오고 있다”며, “올해 34개 센터(신규 5곳 포함)로 확대되어, 업종별 전문기관의 역량과 인프라를 활용해 소공인의 혁신성장을 이끈다면 제조업 전반의 뿌리가 단단해지고 제조혁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 말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지역상권과 최용춘사무관(457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소공인 특화지원센터 설치·운영 사업 개요
 
□ 사업개요
 
ㅇ 소공인 집적지 내에 역량 있는 기관을 소공인특화센터 운영기관으로 지정하여, 교육·마케팅 및 업종별 특화 지원
 
□ 신청요건
 
ㅇ 특화지원센터 운영역량, 집적지 환경, 시설, 인력 요건 등을 모두 갖춘,「민법」제32조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법인
 
□ 설치요건 : 관련 전문가를 통해 사업계획 타당성 등을 평가
 
ㅇ (기관)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운영에 필요한 시설 및 역량을 갖춘
소공인 관련 비영리 기관(대학 및 지자체 산하기관 포함)
 
ㅇ (환경) 상시근로자 수 10인 미만의 동일 업종 소공인이 읍·면·동 단위 50(특별·광역시), 40(시), 20(군)개 이상 밀집되어있는 지역
 
□ 지원내용
구 분 주 요 내 용 비고
기 본 ·소공인 및 관련정책 정보제공 및 실태파악, DB구축(규모·특성·협업도 등)
·제조인력 정보 제공, 소공인 지원기관(산학연)과의 서비스 연계
·공용시설(전시장, 상담실 등)과 공용장비(3D 프린터 등)의 관리·운영
·소공인 특화자금 신청 지원 및 기타 정부지원 사업 연계지원


특화사업 교육 ·상호 정보교류, 경영·기술 역량 배양 등을 위한 교육사업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기술 도입, 스마트장비 구축·활용 실무 등 전문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운영(관련 전문기관 위탁 가능)
필수
컨설팅 ·경영애로(세무, 회계 등) 및 판로개척(상품기획 등) 전문 컨설팅 2개
이상
자율 ·공동구매, 공동판로, 공동개발 등 협업 네트워크 구축 사업
·소공인 수출·고용 등에 기여할 수 있는 특화사업
·지역·업종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환경 개선사업 운영·관리
* 공단 제공 매뉴얼에 따라 추진
·집적지 내 소공인 발전을 위한 지역·업종 특화 자율사업 등
참고 2   소공인 특화지원센터 운영기관별 주요 사업계획
 
□ 운영기관별 주요 사업계획
(서울 광진구 중곡동) 70년대 의류 제조 산업 호황으로 봉제공장이 들어선 지역으로 의류 봉제 제조 소공인 400개사 밀집
 
ㅇ (사)서울광진의류협회
 
- 의류 산업 디자이너–제조 공장 간 협업 경험 기회 제공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 최신 유통채널 진출 방법 등 교육으로 협업제품 생산 기반 마련
 
- 광진구 지역 소공인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협업을 통해 온라인 관리망을 구축하여 일감연결 등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 구축
 
(대구 북구 노원동) 안경 산업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안경 제조 전(全) 공정 작업이 가능한 안경 제조 소공인 227개사 밀집
 
ㅇ 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
 
- 1인 8사 전담제도* 운영 등 집적지 내 소공인과의 긴밀한 소통 체계 구축하여 소공인 수요 분석 및 맞춤형 사업 추진
 
* 운영기관 직원 1인당 소공인 8개사 이상 전담하여 밀착관리
 
- 기관 보유 플랫폼(아이웨어포털) 활용, AI·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안경 제조 산업 트렌드, 점유율 등 분석하여 소공인 대상 정보 공유
 
(경기 포천시 가산면) 1980년대 가구 생산인력이 서울에서 경기로 이주하면서 가구 제조 집적지 형성, 소공인 146개사 밀집
 
ㅇ 경기대진테크노파크
 
- 가구 산업 기술, 시장 동향 등 관련 정보 공유, 온라인 판매를 위한 플랫폼 등을 구축하여 소공인 조직화 및 협업화 유도
 
- 디지털시대 전환에 따라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 오픈마켓 활용
마케팅 기법 교육 및 크라우드 펀드 플랫폼 이해 교육 실시
(경기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경공업 위주 산업도시로서 자연적으로 첨단전자부품 제조 환경 조성, 전자부품 제조 소공인 115개사 밀집
 
ㅇ 안양창조산업진흥원
 
- 집적지 내 소공인이 이용 가능한 공용장비 및 시설 지원으로 소공인 간 네트워킹의 장으로 활용
 
- 집적지 내 소공인 생산 제품 정보 등 소공인 정보 통합 검색 기능 보유 포털사이트 구축으로 지역 내 소공인 인식 제고 및 홍보 확대
 
(전남 무안군 청계면) 우리나라 3대 도자기 발상지로서 도예공방과 공장형 생활자기 제조 소공인 21개사 밀집
 
ㅇ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관 보유 도자 전시장, 상담실 등 공용시설 활용 기회 제공 및 연구시설 내 시험장비 등 사용기회 제공으로 소공인 제조 제품(도자) 고도화
 
- 도자 특성 상, 입체적 도면이 필요함에 따라 3D프린터 활용 생활도자기 디자인 상품 개발을 지원하여 소공인 매출 증대효과 견인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