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중소기업특성화고 신규 참여학교 18개교 선정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16112 | 등록일 2020-07-17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01528&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현장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산학협약을 맺고 맞춤교육과정을 운영할 중소기업특성화고 18개교를 신규로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신규 선정은 전국 462개 특성화고등학교* 중 이미 중소기업특성화고로 지정돼 운영 중인 197개를 제외하고 새롭게 사업참여를 희망한 21개 학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다.
 
* 특성화고등학교 : 특정분야 인재 및 전문 직업인 양성을 위한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
 
** 평가항목 : 특성화 목표, 학교장 리더십, 교육인프라, 현장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취업역량 및 취업연계 활동, 성과관리방안, 신산업 분야 여부 등
 
선정된 18개교는 지역기업·산업과 연계한 특화된 교육 운영과 추진의지 등이 강한 학교들로 계열별로 공업 계열이 5개, 비공업 계열이 13개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1개, 부산 3개, 인천 2개, 대전 1개, 경기 4개, 충북 2개, 충남 1개, 전북 2개, 경북 1개, 경남 1개이다.
 
< 선정학교 명단(가나다 순) >
구분 공업 계열(5개교) 비공업 계열(13개교)
학교명 (지역) 경기항공고 (경기), 경성전자고 (부산), 대전생활과학고 (대전), 부평공업고 (인천), 창녕공업고 (경남) 경주여자정보고 (경북), 근명고 (경기), 대성여자상업고 (충북), 매향여자정보고 (경기), 부산세무고 (부산), 성암국제무역고 (서울), 세정고 (부산), 안산국제비즈니스고 (경기), 인천중앙여자상업고 (인천), 진경여자고 (전북), 천안상업고 (충남), 충북산업과학고 (충북), 학산고 (전북)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은 중기부가 2008년부터 시작한 정부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지원사업으로, 중소기업이 고졸 인력을 채용해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특성화고에서 맞춤교육, 현장문제 해결형 학습(팀프로젝트), 현장실습, 교원연수, 동아리활동, 중소기업 이해연수 운영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지정학교는 중소기업과 3자 또는 2자 간 채용협약을 맺고 맞춤교육을 실시하는 ’취업·산학맞춤반‘ 프로그램을 필수로 운영하게 되는데, 지난해 맞춤반 참여학생의 취업률은 68.8%로 높게 나타났다.
 
* 취업맞춤반 : 주로 공업계열 학교에서 학교-학생-기업이 3자 간 협약을 맺고 맞춤교육 및 채용을 약정하는 프로그램
 
* 산학맞춤반 : 주로 비공업계열 학교에서 학교-기업이 2자 간 협약을 맺고 맞춤교육 및 채용을 약정하는 프로그램
 
중소기업특성화고로 지정된 학교는 맞춤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연 1~1억5,000만원 내외로 지원받게 되며, 자문기관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 등도 컨설팅 지원 받을 수 있다.
 
또한, 학교-학생-기업 간 3자협약을 맺은 취업맞춤반 참여기업에는 산업기능요원 병역지정업체 선정과 현역 인원배정 시 우대하고 있어 남학생의 군입대로 인한 경력단절 문제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소기업특성화고 운영 확대를 통해 점차 스마트화되고 있는 중소기업 제조·서비스 분야의 현장인력 부족 애로를 완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향후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 신기술 분야의 디지털 역량 교육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특성화고 전체 지정학교 현황 및 연락처는 중소기업인력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sanhakin.mss.go.kr)에서 확인 가능하며, 산학협약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학교와 직접 협의한 후 수시로 참여할 수 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인력육성과 김종길 사무관(☎ 042-481-436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개요
 
□ 사업목적 : 특성화고생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직업교육을 통해 우수 기능인력 양성 및 중소기업 취업 지원
 
□ 지원대상 : 중소제조업 및 지식기반 서비스 분야의 차별화된 인력양성이 가능한 특성화고등학교
 
□ 지원내용 : 교과과정 개발․운영비, 현장실습비, 연수비 등
 
□ 예산 및 지원규모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예산(억원) 270 288 286 306 306 339 339 346
지원학교(개) 150 160 162 181 181 200 199 215
 
□ 주요 프로그램
구분 현장중심의 교육 특성화고 마인드제고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①취업(산학)맞춤반 ④중소기업 이해연수 ⑦전공동아리 프로그램
②1팀 1기업 프로젝트 ⑤진로지도 프로그램 ⑧현장학습 프로그램
③교수학습자료 개발 ⑥교원직무 연수 ⑨외부전문가활용
 
□ 사업절차
계획수립 공고 및 학교선정 특성화고 프로그램 운영 사업운영
및 관리
사업평가
         
중기부 중기부 특성화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기부
/중진공
 
□ 지역별 지정학교 현황
구 분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기존지정 32 15 11 13 5 6 3 31 11 12 10 9 15 10 12 2 197
신규선정 1 3 2 - - 1 - 4 - 2 1 2 - 1 1 - 18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