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요인 등으로 5월 취업자 증가폭 축소 고용개선세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대응 강화 [고용노동부]

조회수 359 | 등록일 2024-06-13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5182&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TF」 개최하여 최근 고용상황 및 대응 방향 점검
- 김병환 차관, “15~64세 고용률 사상 처음 70% 달성 등 고용지표는 대체로 양호” “조사기간 중 휴일 포함 등 일시적 요인으로 5월 취업자 증가세 주춤”


기획재정부(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고용노동부(이성희 차관)·통계청(이형일 청장) 등 관계부처는 6.12.(수) 09:00 제17차 일자리 전담반(TF)를 개최하여 최근 고용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월 15~64세 고용률이 처음으로 70%를 기록했으나, 도소매업·건설업 고용이 감소하면서 취업자 증가폭이 축소되고 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도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5월 취업자 증가폭 축소는 고용동향 조사기간에 휴일 포함1)·강수일수 증가 등 기상여건 악화2)와 같은 일시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으며, 6월 일평균 수출액·카드승인액·해외여행객 입국자수 등 내수 지표들도 개선세3)를 보이고 있어 향후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 차관은 “업종별·계층별 고용상황을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일자리 TF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도소매업·건설업 등 일부 업종에서 취업자수 증가폭이 감소하고 20대 후반, 50대 고용률 감소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고용보험DB, 사업체노동력조사 등 다양한 통계의 종합적인 분석, 현장점검을 통한 실증원인 파악 등에 기반하여 필요한 지원방안들을 강구하겠다”라고 했다.


문  의:  고용정책총괄과  홍유란(044-202-7212)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